분류 전체보기 171

아이스크림(ice cream)

김진국 1. 아이스크림(ice cream)이란? 우리나라에서는 빙수 같은 형태의 셔벗(sherbet, 샤베트, sorbet, 소르베), 단단한 얼음과자인 하드 아이스크림(hard ice cream), 크림과 같이 부드러운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ice cream) 등 모든 얼음과자를 일반적으로 아이스크림이라고 하며 법적기준으로는 하드 아이스크림(hard ice cream)과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ice cream)을 아이스크림(ice cream)이라 한다. 가. 셔벗(sherbet, 샤베트, sorbet, 소르베) 셔벗은 과일 등을 주로 사용하고 수분이 대부분이다. 과즙과 리큐어(liqueur)를 체에 걸러 설탕, 양주, 유제품, 난백, 젤라틴 등을 넣고 잘 섞어서 얼린 것으로 알갱이 상태의 얼..

잡글 2018.07.13

반도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김진국 요점 n형, p형 반도체 반도체 제품인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는 p형(positive, 양) 반도체와 n형(negative, 음) 반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p형 반도체는 전자가 부족한 상태인 전공을 갖게 하고 n형 반도체는 자유전자를 갖게 만든 것이다. 그런데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는 순물질의 반도체가 아니고 반도체와 다른 물질을 조합하여 만든 것이다. 반도체는 상온에서 전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이다. 다이오드(diode)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접합하여 n형 반도체 쪽에서 p형 반도체 쪽으로만 전자가 이동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교류를 직류 전류로 전환시키는 정류 작용을 하도록 한 것이다. 트랜지스터(transistor) 다이오드(diode)의 n-p접합 반도체는 n형 반도체 쪽에서..

잡글 2018.07.13

번개(lightning, thunderbolt), 벼락(thunderbolt), 천둥(thunder), 피뢰침(lightning rod)

김진국 1. 구름의 생성과 비 수증기를 가진 공기가 열에너지를 받아 주변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부피가 더 많이 팽창한다. 주변 공기보다 더 많이 팽창한 공기는 밀도가 낮아져 가벼워지므로 위로 떠오르게 된다. 또 지상에서 높이 올라갈수록 기압이 점점 낮아지므로 상승하는 공기는 점점 더 팽창하게 된다. 처음에는 열에 의해 팽창되어 상승했지만 계속 상승하는 과정에는 열 유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기압이 낮아져 팽창이 일어난다. 공기는 열을 받으면 팽창되는데 열을 받지 않고 팽창되면 온도가 내려간다. 이것을 단열 팽창이라 한다. 이 원리를 이용한 제품이 에어컨이나 냉장고이다. 공기가 계속 상승되면 기압이 낮아져 단열 팽창으로 공기의 온도도 점점 내려가 이슬점(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화되는 온도) 이하로 되면 수증..

잡글 2018.07.13

효모(酵母,yeast,이스트)

김진국 1. 효모 효모는 진핵생물(핵막을 가진 생물)로 균류(곰팡이와 버섯류)에 속한다. 균류 중에서 자낭균류에 속하며 뜸팡이라고도 한다. 곰팡이 종류는 포자(홀씨)로 번식하고 몸체가 균사(팡이실, 실모양)로 되어 있다. 효모는 곰팡이 종류에 속하지만 균사가 없고 둥글둥글하다. 대부분의 효모는 무사 분열인 출아법(세포막이 부풀어 나오고 핵이 이동해와 경계 부분에서 핵과 세포질이 분리됨)이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지만(출아 효모, budding yeast) 유사분열로 두 세포로 분열하는 분열효모(fission yeast)도 있다. 그리고 환경이 나빠지면 접합을 하고 포자를 생성한다. 크기는 작아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효모의 용도는 당(단당류와 이당류)을 알코올로 발효시키므로 술 제조에 많이 이용되고 알..

생물 2018.07.13

김장 배추

채소로 이용되는 배추는 꽃이 피고 종자를 맺는 한해살이나 두해살이 풀이다. 분류학상 식물계, 속씨식물 문, 쌍떡잎식물(쌍자엽식물) 강, 양귀비 목(십자화 목), 십자화 과(十字花科, 겨자과), 배추 속(Brassica), 배 추 종(rapa)에 속하는 식물이다. 학명은 Brassica rapa var. glabra Regel이다. 순무, 정경채도 배추와 같은 종의 변종이다. 여기서 ‘십자화(十字花)’란 배추, 무, 냉이, 유채 등과 같이 4장의 꽃잎이 십자 꼴로 붙어있는 것이다. 배추라는 명칭은 중국의 백채(白菜)에서 유래한 것이다. 배추는 봄에 꽃이 피는 장일 식물이다. 두해살이풀이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게 하려면 가을에 씨를 뿌려 싹이 튼 다음 겨울을 지내야 봄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이렇게 가..

잡글 2018.06.10

벼, 쌀, 밀, 밀가루(도정, 搗精, polishing과 제분, 製粉, milling)

김진국 1. 쌀(rice), 밀(white), 옥수수(corn, maize) 등 주요 곡류의 생산 지역 인간은 수렵생활에 이어서 정착 생활을 하면서 자연에 있는 좋은 곡식 종자를 수집하여 경작을 시작하였다. 수천 년을 경작해 오는 동안 더 좋은 돌연변이종을 골라서 경작하는 방법으로 육종을 계속했으며 좋은 종자는 서로 교류하여 세계로 퍼져나갔다. 그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곡류가 벼와 밀이다. 이들 곡류 중에서 벼가 밀보다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높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밀보다는 벼를 경작하고자 하였다. 벼와 밀은 대부분의 기후에서 자랄 수 있으나 수확량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은 다르다. 특히 벼는 기온이 높고 물이 풍부한 지역에서 수확량이 높다. 그래서 인도, 동남아, 중국, 한국, 일본, 그리고 아프리카 일..

잡글 2018.06.10

유과(산자, 강정)와 엿강정(어리)

김진국 1. 유과(산자, 강정) 유과는 주로 설을 쉬기 위해 만드는 대표 음식이다. 설 차례상과 세배 객을 접대하기 위해 준비하는 것이다. 또 결혼이나 환갑 등의 의례 상이나 귀한 손님을 위한 접대상을 차리기 위해서는 유과를 만드는 것이 필수였다. 유과는 찹쌀을 갈아서 반죽을 하여 납작한 조각으로 만들어 말려서 기름에 튀겨 바탕을 만들고 이 바탕에 조청(식혜의 액체만 졸여 진하게 만든 것)을 바른 다음 티 밥을 입힌 한국식 과자로 날씨가 서늘한 계절에만 먹을 수 있었다. 날씨가 더워지면 유과를 만들 때 사용한 기름이 변화여 냄새가 나며 조청이 녹아 유과가 진득하게 되어 뭉쳐서 모양이 엉망이 되기 때문이다. 유과는 재료로 좋아하는 찹쌀을 이용하고 기름에 튀겨서 부풀렸으며 여기에 단맛이 나는 조청으로 부드러..

잡글 2018.06.10

면역력 생성과 강화

김진국 1. 면역 면역계는 1차 방어와 2차 방어로 나눌 수 있다. 눈물, 콧물, 점액, 피부, 위산 등과 같이 병원체의 침입을 저지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파괴하여 체내 침투를 막는 선천적인 작용을 1차적 방어라고 한다. 2차 방어에는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 면역은 항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어느 항원에나 범용으로 작용하는 비만세포, 단핵구(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의 식균 작용, 염증 등이 있다. 후천성 면역은 몸 안에 병원체가 침투했을 때 특별한 병원체에만 작용한다. 후천성 면역에는 다시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이 있다. 세포성 면역은 특별한 항체만 잡아먹는 식균 작용이며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에 반응하여 항체를 대량 생산하여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쓰레기로 ..

생물 2018.03.07

발효식품(醱酵食品, fermented foods)

김진국 1. 발효(醱酵, Fermentation)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작은 유기물로 분해하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보통 좁은 의미의 발효는 미생물이 당 종류를 무산소 호흡으로 더 작은 분자의 유기물로 분해하는 현상(알코올 발효, 젖산 발효, 아세트산 발효)이며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모든 것이다. 유산소 호흡으로 일어나는 발효(아세트산 발효, 식초 발효)도 있으며 무산소 호흡과 마찬가지로 유기물을 불완전 분해하여 중간대사물질로 분해하는 것이다. 미생물(세균, 곰팡이 등)은 호흡작용으로 발효(부패)를 일으키며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산소호흡을 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이 되면 무산소 호흡을 하는 통성 호기성(通性好氣性, facultative aerobe ..

생물 2017.11.22

생물농축(生物濃縮, Biomagnification)

김진국 1. 생물농축 생물체 내로 흡수된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지방 분자와 결합하여 생물체에 머물러 있어 체외로 배출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생물이 흡수하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량이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양과 배출되는 양의 합보다 많게 되면 체내에 남아 축적된다. 생물이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을 비 생물적 한경에서 흡수하여 축적된 것을 포식자가 먹는다면 이 포식자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을 대량으로 먹는 것이 되고 체내에는 대량으로 축적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이 대량으로 축적된 생물체를 다음 포식자가 먹게 되면 포식자의 체내에 축적되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의 양은 수없이 증가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비 생물적 환경에..

생물 2017.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