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 11

고구마(sweet potato)

고구마는 분류학상속씨식물 문(Magnoliophyta)쌍떡잎식물 강(Magnoliopsida)통 화식물 목(Tubiflorae)메꽃과(Convolvulaceae) 미국나팔꽃 속(Ipomoea)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고구 마 종으로 학명은 Ipomoea batatas L.이다.고구마 재배종의 게놈은 6 배체(6X)이며 염색체 수는 2n=6X=90이다. 고구마의 원산지는 멕시코(Mexico), 베네수엘라(Venezuela) 등 아메리카의 열대지방이라고 추정되며, 5천 년 전부터 재배되었다. 신대륙을 발견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1451 ~ 1506)가 카리브해 지역(Caribbean)에서 스페인(에스파냐)에 전하여 유럽에 전파되었고 그 뒤 스페인 탐험가에 의해서 필리핀에 ..

동식물 2019.07.24

감자

1. 감자 감자는 종자식물군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쌍떡잎식물 통화 나물목) 가지과 가지속에 속하는 초본이며 학명은 Solanum tuberosum L.이다. 감자 재배종의 게놈은 4 배체(4X)이며 염색체 수는 2n=4X=48이다. 영어 포테이토(potato, 감자)의 어원은 고대 페루에서 감자를 파파(papa)라고 불렀던 데서 기원한다. 감자가 남미에서 유럽으로 전해지면서 파파(papa)가 파타타(patata)로 바뀌게 되었는데 이것은 유럽인들이 멕시코, 카리브해 지역(Caribbean)에서 바타타(batata) 혹은 타이노(Taino)라고 불리던 고구마를 먼저 가져와 바타타(batata)라고 부르고 있었는데 새로 들여온 감자가 고구마와 비슷했기 때문에 감자를 파타타(patata)라고 부르게..

동식물 2019.07.24

무화과

무화과(無花果, fig) 김진국 무화과나무(無花果)는 인간이 재배한 가장 오래된 과수 중의 하나이다. 무화과의 학명은 Ficus carica Linn이며 변종이나 품종이 다양하다. 원산지는 소아시아 또는 아라비아 남부라고 하며 BC 2000년경부터 이스라엘을 포함하여 지중해 연안지방에 널리 재배되었다. 한국에서는 중부, 남부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유관속 식물 군, 종자 식물 군, 속씨 식물 군, 쌍떡잎식물 강, 쐐기풀 목, 뽕나무 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며 높이는 3m가량의 관목이다. 잎은 크고 보통 손가락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져 있다.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고 열매를 맺는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화과나무는 꽃이 눈에 띠지 않지만 꽃이 핀다. 무화과나무에서 봄, 여름철에 열매라고 불리는 ..

동식물 2011.12.01

민들레

민들레(dandelion) 김진국 민들레(dandelion)는 속씨식물 문, 쌍떡잎식물 강, 초롱꽃목, 국화과, 민들레 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어느 지역에서나 잘 자란다. 학명은 Taraxacum platycarpum이다. 이른 봄에 민들레 잎은 줄기에서 나는 것이 아니라 바로 뿌리의 밑동에서 심장형으로 모여 나며 모양은 구둣주걱 모양의 긴 타원형이다. 갈라진 조각은 삼각형이며 끝이 날카롭고, 위쪽은 이빨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이 뿌리에서 바로 나오므로 민들레의 전체 모양은 땅에 바짝 달라붙어있는 형태이다. 이런 형태는 동물, 바람 등에 의해 잎의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추운 날씨에는 에너지의 소모를 줄이는 것이다. 더욱이 잎이 지면에 수평이므로 빛은 최대한 받을 수 있고 뿌리도 보호할 수 있다...

동식물 2011.11.22

쇠뜨기(horsetail)

쇠뜨기(horsetail) 김진국 쇠뜨기는 양치식물(고사리) 문-속새 강-속새 목-속새 과-속새 속에 속한다. 쇠뜨기라는 이름은 쇠를 연마하는데 이용되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이 있으며 소가 잘 먹어 쇠뜨기라 한다는 말은 소가 쇠뜨기를 잘 먹지 않으므로 아닌 것 같다. 쇠뜨기 학명은 Equisetum arvense L.이다. 속명인 'Equisetum(속새 속)'은 말(horse)을 뜻하는 'equi'와 꼬리를 뜻하는 'setum'의 라틴합성어로 속새 속의 식물들은 식물체의 모양이 말의 꼬리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였다고 하며, 영어권에서 쇠뜨기는 horse tail(말꼬리)로 불린다. 쇠뜨기의 조상에 해당하는 속새류는 약 3억 년 전 고생대 석탄기에 크게 번성했다. 고생대의 화석으로는 석탄의 원료가..

동식물 2011.11.18

포도(葡萄, grape)

김진국 포도(葡萄, grape)는 유관속식물문 속씨 식물군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s) 포도나무과(Vitaceae) 포도나무속(Vitis)에 속하는 식물로 학명은 Vitis vinifera L.이다. 포도의 원산지는 흑해 연안과 코카서스(Caucasus, 캅카스, 카프카스)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도주는 8,000년 전 조지아(Georgia, 코카서스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포도는 고려 시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포도(葡萄, 葡 포도 포, 萄 포도 도)란 이름의 유래는 박트리아어(Bactrian, Bactria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남부)에서 포도주를 뜻하는 단어 bādāwa(바다와)가 중국에서 葡萄(buo dau)로 음차(音借)되었고 이것이 우리나라로 ..

동식물 2011.11.05

무(Radish, 무우)

무(Radish, 무우) 김진국 무는 유관속식물문 속씨식물군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 십자화과속에 속하는 1년생 또는 2년생 식물로 학명은 Raphanus sativus이고 무우, 무시라고하며 한자로는 나복(蘿蔔)이라 한다. 무의 전파 경로는 지중해 지방에서 자라던 무가 중국에 BC 400년쯤에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다시 한국으로 건너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의 꽃눈은 0~13℃의 저온을 지나야 개화하는 1~2년생 식물로 춘화형이다. 즉 무가 꽃이 피려면 꽃눈이 저온에 노출되어야한다. 저온에 노출된 꽃눈은 온도가 높아지고 낮이 길어지는 봄에 개화한다. 그래서 따듯한 지방에서는 늦가을에 파종하여 월동하여 봄이 되면 개화하여 씨앗이 맺힌다. 추운지방에서는 ..

동식물 2011.11.05

상추(lettuce)

김진국 1. 상추 상추는 유관속식물 문 속씨식물 군 쌍떡잎식물 강 국화목(Asterales) 국화과(Asteraceae) 왕고들빼기 속(Lactuca)에 속하는 한 두해살이풀로 한자어로는 와거(萵苣), 와채(萵菜)라 하고 영어로 레터스(lettuce)라고 하며 학명은 Lactuca sativa L.라고 한다. 원산지는 유럽과 서아시아이다. 상추의 게놈은 2n=18이다. 옛말에 상추처럼 날로 먹을 수 있는 채소류를 부루라고 하였으나 일제강점기 때에 한자로 표기된 생채(生菜)를 상치 또는 상취로 기록한 것에서 유래한 것이라 한다. 상추라는 이름은 날로 먹을 수 있는 채소라는 것이다. 잎을 뜯어먹는 상추는 이미 BC 6세기에 페르시아에서 식용되었으며, 그리스, 로마에 보급되어 유럽에 널리 퍼졌다. 5세기에는 ..

동식물 2011.11.05

도토리(acorn)

도토리(acorn) 김진국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신갈나무 등 참나무 과에 속하는 나무를 통칭하여 참나무라 하며, 보통 우리가 참나무라고 부르는 나무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이다. 이들 나무의 열매를 가리켜 도토리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도토리나무라는 것은 없다. 도토리를 상실(橡實)이라고도 하며 견과에 속하는데 겉은 단단하고 매끄러운 과피로 이루어져 있다. 안에는 녹말이 들어 있어 떡잎이 발달되었다. 모양은 구형, 난형, 타원 형 등이 있고, 크기 또한 다양하다. 참나무 종류는 유관속식물 문, 속씨식물 군, 쌍떡잎식물 군, 장미 군, 참나무 목, 참나무 과, 참나무 속에 속한다. 참나무 종류는 구별하기가 어려운데 잎 모양, 털, 도토리 모양을 기준으..

동식물 2011.11.05

대나무(竹, Bamboo)

대나무(竹, Bamboo) 김진국 1. 대나무 계통과 분류 우리나라에 자라는 일반적인 대나무(竹)는 유관속식물 문, 외떡잎식물 군, 벼 목, 벼 과(Poaceae), 대나무 아과(Bambusoideae), 해장죽 족(Arundinarieae Asch. & Graebn.), 왕대나무 속(Phyllostachys)에 속하는 상록 목본으로 키가 큰 풀이다. 학명은 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et Zucc.이다.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는 대나무족(Bambuseae Kunth ex Dumort.), 올리라 족(Olyreae Kunth ex Spenn. 열대지방, 풀 상태로 나무화 木化가 되지 않음), 해장죽 족(Arundinarieae Asch. & Graebn.)이 있..

동식물 201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