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국
포도(葡萄, grape)는 유관속식물문 속씨 식물군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s) 포도나무과(Vitaceae) 포도나무속(Vitis)에 속하는 식물로 학명은 Vitis vinifera L.이다.
포도의 원산지는 흑해 연안과 코카서스(Caucasus, 캅카스, 카프카스)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도주는 8,000년 전 조지아(Georgia, 코카서스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포도는 고려 시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포도(葡萄, 葡 포도 포, 萄 포도 도)란 이름의 유래는 박트리아어(Bactrian, Bactria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남부)에서 포도주를 뜻하는 단어 bādāwa(바다와)가 중국에서 葡萄(buo dau)로 음차(音借)되었고 이것이 우리나라로 전해진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재배되고 있는 품종은 1910년경에 들여왔으며, 현재 경상북도, 경기도, 충청 남북도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포도나무는 추위에 약하지만 겨울에 묻어주기만 하면 우리나라의 모든 지역에서 재배할 수 있다.
포도나무는 목본 덩굴식물로 덩굴손(변형된 가지)을 뻗어 기어오르며, 전지를 하지 않으면 길이 17m 정도까지 자란다. 건조한 지역에서는 거의 곧게 관목으로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고 손바닥 모양으로 갈라져 있으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나 있다.
꽃은 6월에 황록색의 작은 꽃이 수없이 핀다. 꽃차례(화서)는 잎과 마주나는 원추 꽃차례이다. 암술 1개, 수술은 5개인 양성화이며 꽃잎은 5개인데 끝이 융합되어 있으며 수술 사이에 꿀샘이 있다.
열매는 검은색에서 녹색, 붉은색, 호박색 등 다양한 색을 띤다. 열매는 장과(漿果, 물렁 열매, 속에 액즙이 있는 열매)로 대개 둥글며 즙이 많은 과육 속에 씨가 들어 있다. 모든 포도에는 다양한 양의 당(포도당, 과당)이 들어 있다.
잘 익은 포도송이를 고를 때는 포도송이 끝부분의 것을 따 먹어 보고 달다면 그 송이 전체가 달다는 뜻이다. 덜 익은 포도송이는 포도송이 끝으로 갈수록 그 맛이 시어지기 때문이다.
잘 익은 포도 껍질에는 하얀 분이 생성되는데 이는 안으로부터 나온 당분이 축적된 것이다. 여기에 많은 효모가 있다. 그래서 포도주를 담을 때 너무 깨끗이 씻을 필요는 없다.
포도에는 포도당, 과당이 주성분이고 그 외에도 유기산(타르타르산, 말산, 엽산 등), 색소(타닌, 플라보노이드 등), 비타민, 무기염류 등이 있다.
향기는 안트라닐산메틸(Methyl anthranilate),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휘발성 산(volatile acidity)류로 이루어져 있다.
포도에는 독성을 제거하는 콜린(choline)과 피로 해소와 세포 생성 및 독성 제거를 돕는 비타민 B가 풍부하게 들어 있어 포도를 섭취하면 간에 도움이 된다. 포도에 있는 엽산이 피부병, 류머티즘 등의 피부병을 진정시키며 리놀레산(linoleic acid), 아라키드산(arachidic acid), 올레산(Oleic Acid), 파밀트산(palmtic acid) 등 20여 종의 풍부한 지방산은 혈관과 자율신경 조절에 도움을 준다.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색소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 플라본(Flavone), 플라보놀(Flavonol), 플라바논(Flavanone), 플라바노놀(Flavanonol), 플라반(Flavan), 이소플라본(Isoflavone) 등의 다양한 종류가 포함된다.
포도의 껍질에는 보라색을 내는 색소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있다. 특히 적포도 껍질에는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풍부하다.
포도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혈전 생성을 억제해 심장 병과 동맥경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 플라보노이드 색소는 차, 과일, 채소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나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은 포도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색소뿐이다.
비만 환자나 다이어트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포도가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 작은 것 한 송이가 140kcal로 과일 중에서 열량이 높은 편이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포도씨까지 먹는 포도 즙은 포도씨 성분에 설사를 일으키는 성분이 있어 주의해야 하며 속에서 열을 내는 성질이 있으므로 열이 많은 사람도 포도를 너무 많이 먹으면 좋지 않다.
당뇨병 환자는 생포도보다 당도(단위 Brix, 설탕 1g이 녹아있는 용액을 1 브릭스라 함)가 높은 건포도는 적게 먹어야 하고 포도주스나 포도즙보다는 식이 섬유가 있는 포도알 자체를 먹는 것이 좋다.
1. 포도 재배품종
재배되고 있는 포도 품종은 유럽종 포도(European grape), 미국종 포도(American grape, fox grape), 구미 잡종 포도(歐美雜種葡萄)에 기원을 두고 있다.
유럽종 포도(European grape)는 카스피해 연안, 코카서스 지역이 원산지로 여름에 비가 적고 겨울에 따뜻한 지역에 적응한 품종들이다. 세계 포도 생산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품종으로 생식용 및 가공용 등으로 쓰이며 포도주 생산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품종이다. 네오 머스캣(Neo Muscat), 샤인 머스캣(Shine muscat), 골드핑거(Goldfinger) 등의 품종들이 이에 속한다.
미국종 포도(American grape, fox grape)는 미시시피강 동쪽의 애팔래치아산맥 일대가 원산지로 여름에 비가 많이 내리고 겨울에 추운 지역에 적응한 품종들이다. 델라웨어(Delaware), 캠벨(Campbell) 등의 품종들이 이에 속한다.
구미 잡종 포도(歐美雜種葡萄)는 유럽종과 미국 야생종을 교잡시켜 육성한 종으로 여름철에 기온이 높고 강수량이 많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캠벨 얼리(Campbell early), 나이아가라(Niagara) 등이 이에 속한다.
2. 포도 재배품종의 육종
현대인들이 맛과 향기가 좋을 뿐만 아니라 알이 굵고 씨가 없는 포도를 선호함에 따라 포도 육종과 재배에도 이에 맞추어 따라가고 있다.
야생형(wild type) 포도의 게놈은 일배체(monoploid) x=19, 반수체(Haploid) n=19, 이배체 2n=38이다. 이배체는 일반적인 wild type(야생종)로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며 씨가 맺는다.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이배체를 서로 교배시켜 수많은 품종을 개발하여 용도에 맞게 재배해 왔다.
일찍이 우리나라에서는 보랏빛 적포도인 캠벨 얼리(Campbell early, 1892년 미국 개발) 품종을 많이 재배하여 먹었으나 칠레에서 씨 없는 청포도 품종인 톰슨 씨들리스(thompson seedless, Sultana, 건포도용, 일찍이 유럽에서 개발)가 수입되어 많이 소비되었다.
유럽종인 머스캣 오브 알렉산드리아(Muscat of Alexandria, 학명 Vitis vinifera 'Muscat of Alexandria')는 북아프리카 원산으로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되고 많이 재배되는 포도 품종이며 건포도와 화이트 와인의 재료로 이용된다.
1937년 일본에서 4 배체(tetraploid, 2n=4x=76)를 만들어 거봉(巨峰, Kyoho Grape)이라는 알이 굵은 품종을 개발했다(n는 생식세포, 2n은 체세포, x는 배수성 set).
거봉 포도(巨峰, Kyoho Grape, 학명 Vitis vinifera L. cv. Kyoho)는 일본의 오오 이노우에 야스시(大井上康, Yasushi Ohinoue, 1892 ~ 1952)가 미국종 포도(Vitis labrusca, 비티스 라브라스카) 캠벨얼리 기원의 4 배체 변이종인 석원조생(2n=4x=76)과 유럽종(Vitis vinifera, 비티스 비니페라) 기원의 4배체인 센테니얼(Centenial, 2n=4x=76)을 교배(Vitis Rabrusca, 4n X Vitis Vinifera, 4n)하여 이질사배체(allotetraploid, 2n=4x=76)의 씨가 있는 큰 알의 포도 중을 육종하고 1945년에 거봉(巨峰, Kyoho Grape, 학명 Vitis vinifera cv. Kyoho)이라 명명하였다(cv. 재배종).
인공의 4 배체(tetraploid)는 2 배체(diploid)의 종자나 생장점(growing point)에 식물 종에 맞는 저농도의 콜히친 수용액( 0.05% 정도)을 적정시간(12시간 정도) 처리하여 만들며 이질사배체(allotetraploid, 2n=4x=AABB)는 다른 종의 사배체(2n=4x=AAAA, 2n=4x=BBBB)를 교배하여 생성한다.
최근에는 고급 품종으로 개발된 청포도인 샤인 머스캣(Shine muscat, 학명 Vitis vinifera L. cv. Shine muscat)이 대단히 각광을 받고 있다.
샤인 머스캣(Shine muscat) 포도 품종은 일본에서 1988년 스튜벤(Steuben, V. labruscana)과 머스캣 오브 알렉산드리아(Muscat of Alexandria, V. vinifera)를 교배하여 만든 아끼즈 21호(Akitsu-21)와 하쿠난(Hakunan, V. vinifera)을 교잡해 육종한 2 배체(二倍體, dioploid, 2n)로 껍질이 얇고 향기도 좋고 당도가 18 브릭스(Brix)로 매우 높으며 재배 중에 지베렐린(gibberellin, 식물호르몬)을 처리하여 씨의 생성을 막고 거봉과 같이 알을 크게 할 수 있다.
일본에서는 국내법으로 품종 육종 후 6년 이내에 등록해야 재산권을 보호받을 수 있었는데(2021년 개정) 일본이 1988년에 샤인 머스캣(Shine muscat) 품종을 육중하였으나 2006년에 등록함에 따라 우리나라 농민들이 로열티 지불 없이 2006년에 도입하여 재배하였으며 2012년 이후 로열티 없이도 재배 및 수출할 수 있는 정식 권리를 획득하였다.
포도는 단위 결실(單爲結實 parthenocarpy, 수정 없이 씨방이 자라 열매로 되는 것, 씨 없음)이 일어나는 종이 아니지만 수분 전에 사람이 지베렐린을 수술과 암술 양쪽에 바르거나 지베렐린 용액(12.5 ~ 25ppm)에 담가주면 단위 결실(單爲結實 parthenocarpy)을 일으켜 씨 없는 포도를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정상적으로 수분이 되면 지베렐린이 분비되어 씨방을 성숙시켜 열매가 되게 하는데 인위적으로 지베렐린을 처리함으로써 수분 없이 열매가 성숙되는 단위 결실을 일으키는 것이다.
꽃이 완전히 핀 3일까지와 10일 후인 열매가 성숙 중일 때 다시 지베렐린(25ppm)을 처리하여 큰 포도알로 만들 수도 있게 되었다.
샤인 머스캣(Shine muscat) 포도 품종도 이 방법으로 재배한다.
이렇게 새로 육종한 샤인 머스캣(Shine muscat)은 삽목(揷木, 꺾꽂이, cutting, cuttage), 접목(接木, 접붙이기, grafting), 취목(取木, 휘묻이, layerage) 등의 영양번식으로 증식하여 재배한다.
그리고 이배체 ( 二倍體, diploid, 2n=38)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만든 4 배체(四倍體, tetraploid, 2n=4x=76)와 이배체 ( 二倍體, diploid, 2n=2x=38)를 교배시켜 씨가 잘 생기지 않는 삼배체(三倍體, triploid, 2n=3x=57) 품종을 개발하였다.
식물의 삼배체(三倍體, triploid, 3x)는 체세포 분열과 발생이 일어나 생장될 수 있고 감수분열은 일어나지 않으므로 씨가 생성되지 않는다. 그래서 삼배체(三倍體, triploid)를 이용하여 씨 없는 종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이다. 씨가 생성되지 않고 열매만 생성되는 종이 개발된다면 삽목(揷木, 꺾꽂이, cutting, cuttage), 접목(接木, 접붙이기, grafting), 취목(取木, 휘묻이, layerage) 등의 영양번식으로 증식하여 재배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육종한 삼배체(三倍體, triploid) 과일로는 씨 없는 바나나 종인 캐번디시 바나나(Cavendish banana)가 있다. 캐번디시 바나나(Cavendish banana)는 단위 결실(單爲結實 parthenocarpy, 수정 없이 씨방이 자라 열매로 되는 것, 씨 없음)이 일어나 열매인 바나나가 열리는 것이다.
* 블랙 사파이어 포도(black sapphire grapes, 가지 포도, Sweet Sapphire Grapes, Moon Drops)
블랙 사파이어 포도(black sapphire grapes, 가지 포도, Sweet Sapphire Grapes, Moon Drops, 학명 Vitis vinifera L. cv. sweet sapphire)는 포도알이 작은 가지 모양으로 길쭉하고 씨가 없으며 당도가 높고 식감이 좋은 검은색 포도로 고가로 수입되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미국 농무성(USDA)의 전 연구원이었던 데이비드 케인(David Cain, 과일 유전학자)이 2004년 개발하였고 2010년대 후반에 보급되기 시작했다.
유럽종 (vinifera)과 북미종(labrusca)을 기반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이종 간의 인공 수분을 통해 새 품종으로 개발되었다.
유전자 조작으로 생성된 품종이 아니고 전통적인 방법으로 육종되었다.
블랙 사파이어(스위트 사파이어, Sweet Sapphire)는 과육이 아삭아삭하고 당도가 18 ~ 22 brix로 매우 높고 신맛이 약하며 씨가 없고 껍질이 얇아 껍질째 먹을 수 있어 섭취하기 편리하다.
재배 허가를 받고 로열티를 지불해야 재배할 수 있고 호주, 미국, 칠레 등 다양한 곳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제주도 등에서도 재배되고 있다.
※ 포도 품종
* 생식용 품종
- 한국 원산
• 슈팅 스타(Shooting Star grapes, 타노래드와 루비씨들리스교잡종, 씨들리스, 농촌진흥청)
• 탐나라(Tamnara grapes, Vitis hybrid, 캠벨얼리 Campbell Early와 힘로드씨들레스 Himrod Seedless의 교배종,농촌진흥청)
• 청수(Chungsu, 청포도, 양조용, 농촌진흥청) 농촌진흥원)
- 일본 원산
• 샤인머스캣(Shine muscat grapes, Akitsu-21 × 하쿠난 V. vinifera의 교배종, 청포도, 알12g, 원추형, 씨들리스, 일본 원산)
• 매니큐어핑거(Manicure Finger, 유니콘 Unicorn과 발라디 No.2 Baladi No.2의 교배종, 알 끝부분이 붉은색, 씨 있음, 일본 원산)
• 베니 바라드(Beni ballade, 홍포도, baladi × gold → 발라드 × 경수 京秀 → 베니 발라드, 알 12g, 씨 없음, 껍질째 먹음, 일본 원종)
• 루비 로망(Ruby Roman grapes, 적포도, 알의 크기 3cm 20g, 18brix, 일본 원산)
• 마이하트(My heart grapes, Shine Muscat x Wink, 붉은색의 하트 모양, 알 10g, 일본 원산)
• 킹델라웨어(King Delaware grapes, 킹데라 King Dela, 알의 크기 중소형, 씨 없음, 일본 원산)
• 거봉(巨峰, Kyoho Grape 교호, Campbell Early 4배체 변이종인 석원 조생 × 썬테니얼(Centennial) 교배종, 적포도, 알이 큼 12g, 씨 있음, 일본 원산)
• 피오네(Pione, 이가와씨가 거봉 × 캐논홀머스켓 Cannon Hall Muscat 교배종, 청흑포도, 알이 거봉보다 굵음 14g, 일본 원산)
- 미국 원산
• 스텔라벨라(Stella Bella, beautiful star, 애플 청포도, 씨 없음, 미국 원산)
• 크림슨(Crimson seedless grapes, C133-199 × Emperor의 교배종, 알 3g, 씨 없음, 당도 17 brix, 밝은 붉은색, 미국 원산)
• 코튼캔디(Cotton candy grapes, 콩코드형 × Vitis vinifera, 청포도, 알 크기 2cm, 당도 19 brix, 미국 원산)
• 블랙 아도라 씨들리스(Adora seedless, 블랙펄 Black Pearl grapes, 흑포도, 알 크기 2.5cm, 당도 21 brix, 미국 원산)
• 스위트 사파이어(Sweet Sapphire, 블랙 사파이어, Beita Mouni × unnamed USDA selection C22-121의 교배종, 가지포도, 씨 없는 흑포도, 미국 원산)
• 캠벨얼리(Campbell Early, 1892, Belvidere × Muscat Hamburg 교배종, 자흑색, 알 크기 5g, 당도 13 brix, 씨 있음, 미국 원산)
• 레드 글러브(Red glove, 적포도, 거봉 계열로 알이 굵고 둥글다. 씨가 있음, 미국 원산)
• 스위트 스칼렛(Sweet Scarlet, C33-30 X C103-41의 교배종, 적포도, 원뿔형, 알 크기 5.5g, 씨 없음, 미국 원산)
• 델라웨어(Delaware grapes, Vitis labrusca의 파생종, 생식용 및 스파클링 제조용, 적포도, 알 1.5g, 씨 없음, 미국 원산)
- 오스만(튀르키예)원산
• 톰슨 씨들리스(Tomson seedless, 설태너 sultana, 청포도, 송이는 크고 알은 작으며3g 씨 없음, 학명: Vitis vinifera 'Thompson Seedless', 오스만제국 튀르키예)
- 칠레 원산
• 마일렌(Maylen, 씨없는 포도, INIA 칠레 국립 농업 연구소)
- 구 소련 원산
• 골드핑거(Gold finger, 캇타쿠루칸 Cattakourgan × 파캔트 Pakentt 교배종, 장원추형, 선홍색 중, 알 11g, 씨 약간 있음, 구 소련 원산)
* 적포도주용 품종
• 카베르네 쇼비뇽(Cabernet Sauvignon, 적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와 스페인)
• 메를로(Merlot, 적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 보르도)
• 카베르네 프랑(Cabernet Franc, 적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 르아르)
• 피노 누아르(Pinot Noir, 적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의 부르고뉴)
• 가메(Gamay, 적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의 부르고뉴)
• 그르나슈(Grenache, 적포도, 적포도주용, 스페인)
• 쉬라(Syrah, 흑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 남동부)
• 네비올로(Nebbiolo, 자색 포도, 적포도주용, 이탈리아 피아몬테)
• 피노 뫼니에(Pinot Meunier, Meunier, Schwarzriesling, 적포도, 적포도주용, 샴페인용, 프랑스 북부, 상파뉴)
• 산지오베제(Sangiovese, 적포도, 적포도주용, 이탈리아 토스카나)
• 템프라니요(Tempranillo, 적포도, 적포도주용, 스페인 리오하 Rioja)
• 말벡(Malbec, 자색 포도, 적포도주용, 프랑스 남서부의 카호르)
- 백포도주용 품종
• 리슬링 (Riesling, 청포도, 백포도주용, 독일 원산)
• 샤도네이(Chardonnay, 청포도, 백포도주용, 프알스 브르고뉴 원산)
• 슈넹 블랑(Chenin Blanc, 청포도, 백폳주용, 프랑스 루아르 밸리 원산)
'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들레 (0) | 2011.11.22 |
---|---|
쇠뜨기(horsetail) (0) | 2011.11.18 |
무(Radish, 무우) (0) | 2011.11.05 |
상추(lettuce) (0) | 2011.11.05 |
도토리(acorn) (0) | 2011.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