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1

1유전자 1효소설(一遺傳子一酵素說, one gene one enzyme theory)

김진국 1 유전자 1 효소설(一遺傳子一酵素說, one gene one enzyme theory)이란 1개의 유전자가 1개의 특정한 효소를 생성하게 한다는 설이다. 1902년 아치볼드 개로드 (Archibald Edward Garrod, 1857~1936, 영국)가 알캅톤뇨증(Alkaptonuria)을 연구하여 유전자와 효소의 관계를 처음 발견하였다. 1941년 비들(George Wells Beadle, 1903~1989. 미국)과 테이텀(Edward Lawrie Tatum, 1909~1975. 미국)이 붉은 빵 곰팡이(red bread mould, Neurospora crassa)의 유전자에 X선을 쪼여 새로운 아미노산이 합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관계를 연구하여 1 유전자 1 효소설을 발표하였다. 1. 붉..

생물 2017.11.13

DNA 염기서열 분석법(DNA 시퀀싱, DNA sequencing),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DNA 염기서열 분석법(DNA 시퀀싱, DNA sequencing),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Sanger 법, 생어법) 김진국 DNA의 염기서열(염기-데옥시 뉴클레오티드가 결합한 순서)을 읽어 내는 것을 DNA 시퀀싱(DNA sequencing)이라고 한다. 1.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디디옥시 법) 프레더릭 생어(Frederick Sanger, 1918 ~ 2013, 영국)에 의해 1977년에 개발되었으며 Sanger 법이라고도 한다. 월터 길버트(Walter Gilbert, 1932 ~, 미국)는 제한효소(Restriction endonucleases, 제한 핵산 내부 가수분해효소, restriction ..

생물 2017.11.09

피키니(Pikinni)와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

피키니(Pikinni)와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 김진국 1. 핵폭탄 실험 장소 피키니(Pikinni) 비키니 환초(Bikini Atoll, Pikinni Atoll, Eschscholtz Atoll, 에솔츠 환초)는 태평양의 마셜 제도(마셜 제도 공화국, Republic of the Marshall)의 랄리크 열도에 위치한 환초이다. 평균 높이가 해발 3m밖에 되지 않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피키니 환초(Pikinni Atoll, Bikini Atoll)는 북동쪽으로 휘어져서 좁은 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피키니(Pikinni, Pik는 surface이고 ni는 coconut, 코코넛의 껍질을 의미함) 섬은 피키니 환초(Pikinni Atoll, Bikini Atoll)..

잡글 2017.11.06

식용유 채유(식용유 짜기)

김진국 우리나라에서 옛날부터 믿음을 주지 못하였던 식품 중 가장 심한 것이 꿀과 참기름이었다. 생산하기 어려워 값이 비쌌으므로 소량으로 생산하여 파는 사람에게 많은 사람이 속아서 그냥 먹어왔다. 그럼 대기업에서 식용유를 대량으로, 종류도 다양하게 생산하는 오늘날에는 믿을 수 있는 식용유일까. 1. 옛날 참기름 짜기 집에서 참깨에 묻어 있는 흙과 먼지를 물에 씻고 조리로 일어 건지면 티끌이나 모래 같은 큰 덩어리를 제거할 수 있다(조리로 물을 젓으면 가벼운 깨는 높이 뜨고 무거운 모래는 조금 뜨므로 조리로 높이 뜬 깨를 건지는 것이다.). 이렇게 깨끗이 씻은 참깨를 기름집에 가져가서 기름을 짠다. 1960년대에 할머니를 따라서 기름집에 가본 적이 있다. 기름집에서는 참깨를 솥에 넣고 고소하게 검을 정도로 ..

잡글 2017.11.06

등불(light, lamp), 등잔, 호롱불

김진국1. 등불 어두운 밤을 불로 밝히는 것은 무서움을 떨치게 하고 활동이 가능한 환경으로 만들어 주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원시인들도 밤에 모닥불을 피워서 거주지를 밝히고 이동할 때는 횃불을 사용했을 것이다. 등(燈)은 불을 켜기 위한 모든 장치로 등잔(燈盞), 촛대(燭臺, 촉대) 등을 뜻하고 등불(light, lamp)은 불을 켜서 어두운 곳을 밝히는 모든 것을 뜻한다. 등불에서 연료가 연소하여 불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연료는 기체가 되어야 하고 온도는 인화점 이상이어야 하며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어야 한다. 그래서 고체나 액체 연료는 먼저 열을 받아 기체가 되고 온도가 인화점 이상이 되었을 때 산소와 결합함으로써 불꽃이 일어나는 것이다. 그래서 온도를 낮추거나 산소, 연료의 공급을 끊으면 불이 꺼..

잡글 2017.11.01

스푸트니크 쇼크(Sputnik shock)

김진국 1. 양력(揚力, lift)과 추진력(推進力, driving force) 옛날에는 비행기나 배가 공기 중이나 물에 뜨는 것이 중요했지만 빨리 가고 멀리 가야 하는 지금에는 추진력이 더 중요하게 되었다. 배는 물에 부력(浮力, buoyancy)으로 뜨고 비행기는 공기 중에서 날개의 양력으로 뜬다. 비행기가 공기 중에서 앞으로 가면 공기는 비행기 뒤쪽으로 스쳐간다. 비행기 날개의 위쪽이 도드라져 있어 공기가 날개를 스쳐 지나갈 때 윗면을 더 길게 지나가야 한다. 그러므로 같은 시간에 공기가 윗면과 아래 면을 지날 때 아래 면보다 윗면을 지나는 공기의 속력이 빠르다. 공기의 속도가 빠른 쪽의 공기압력이 더 낮아지므로 비행기는 압력이 낮은 위쪽으로 뜨게 된다. 축구의 스핀킥이나 야구의 커브 등도 공을 회..

잡글 2017.10.16

늑대 떼(wolf pack) 전법

김진국 늑대들은 10마리 정도로 무리를 지어 동굴에서 생활한다. 무리 속에서 1부 1 처제로 부부생활을 하고 새끼는 한 번에 2 ~ 10마리가 태어나며 자라면 무리에서 떨어져 나가 결혼하고는 짝과 같이 되돌아오거나 다른 무리에 합류한다. 늑대는 시각, 후각, 청각 등이 발달되어 있으며 이들을 이용해 의사 전달을 한다. 길게 울부짖는 하울링(howling)은 3~11초가량 지속되며 9.6 ~ 11.2km 떨어진 동료에게 의사를 전할 수 있다. 위급한 일이 생겨 무리를 다시 모아야 할 때도 이 소리를 낸다.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기 위해 같은 장소에 주기적으로 소변, 대변 등의 흔적을 남긴다. 호랑이나 사자는 소도 잡아먹는다. 그러나 늑대는 주로 사슴, 양, 쥐 등을 잡아먹는다. 늑대는 호랑이나 사자보다 몸 ..

잡글 2017.10.03

대가천 수륜 오천 화살구미

대가천 수륜 오천(화살구미) 김진국 성주군(星州郡) 수륜면(修倫面)에는 가야산(伽倻山, 성주군 수륜면) 뒤쪽 물과 수도산(修道山, 김천시 증산면) 동쪽 물이 합해져 대가천(大伽川)을 이루어 고령 쪽으로 굽이굽이 흐른다(소가천 小伽川은 성주군 수륜면 백운동 가야산 남동쪽에서 고령군 덕곡면을 가로질러 흐른다.). 수 천 만년을 세차게 흐르니 산은 깎여 절벽이 되고 바위는 부서져 모래밭이 되었다. 냇물이 굽이치는 곳마다 넓은 들판을 이루니 산을 등지고 들판을 앞세워 옹기종기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들판은 넓고 냇물은 풍부하여 보를 막아 물을 논에 대니 가뭄 걱정 없이 쌀농사를 지어 잘 살아왔다. 수륜면(修倫面)은 옛날의 지사면(志士面)과 청파면(靑坡面)이 1934년에 합쳐지고 새로 붙여진 지명이다. 수륜면(..

잡글 2017.10.03

호르몬의 발견(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 발견과 아돌프 부테난트의  페로몬 발견, 식물 호르몬 발견)

김진국 우리 몸의 정보전달은 신경계와 호르몬에 의해 일어난다. 신경은 전기적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전달 속도가 빠르고 전달 부위가 좁고 지속시간이 짧게 작용한다. 반면에 호르몬은 물질이 신호를 전달하므로 전달 속도가 느리고 전달 부위가 넓으며 지속시간이 길게 작용한다. 1. 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secretin) 발견 20세기 초반까지 몸 안에서의 모든 정보 전달은 신경계를 통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호르몬은 영국의 생리학자 베일리스(Bayliss, William Maddock, 1860 ~ 1924)와 스탈링(Ernest Henry Starling, 1866 ~ 1927)에 의해 1902년에 발견된 세크레틴(secretin)이 처음이었다. 다음은 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secretin)..

생물 2017.09.19

카눌라(Canola), 유채씨유

김진국 봄에 노란 꽃을 피우는 유채(油菜, 평지, Rapeseed)를 보았을 것이다. 유채라는 종명은 기름을 짤 수 있는 채소라는 의미이다. 지중해 원산이고 쌍떡잎식물, 양귀비 목, 십자화 과, 배추 속(Brassica)에 속하며 학명은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이다. 유채는 옛날에 야생의 배추 종과 야생의 양배추 종이 자연교잡으로 생성된 종이다. 2년생 초본으로 키는 80 ∼ 130㎝, 줄기는 표면이 매끄럽고, 원줄기에서 15개 내외의 가지가 갈라지고 기지에서 다시 2∼4개의 작은 가지가 생긴다. 잎은 피침형(披針形, 창끝 모양)으로 선단이 둔하며, 아랫잎은 긴 잎자루가 있지만 윗 잎에는 잎자루가 없다. 꽃은 4~5 월에 ..

잡글 2017.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