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1

유전자 재조합 작물(GMO)

김진국 유전자 재조합 작물(Genetically Modified Crop, GMC,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유전자 변형식품, Transgenics, 형질도입 식품)을 상업적으로 처음 개발한 것은 1994년 칼진(Calgene)사의 무르지 않는 토마토(Flavr Savr, 플레이버 사브르)이고 이어서 1996년 다국적 기업 몬산토(Monsanto)의 라운드업 레디(roundup ready) 콩과 노바티스(Novartis, 스위스)의 BT(Bacillus Thuringenesis) 옥수수이다(라운드업 roundup은 몬산토의 제초제 상표이고 라운드업 레디 roundup ready는 몬산토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변형작물 상표). 유전자 재조합 작물(GMC)의 재배면적..

생물 2017.09.19

개(개의 조상, 발생 지역, 발생 시기, 개의 본능과 습관, 개의 특별한 행동)

김진국 개는 분류학상 식육목(Carnivora), 개과(Canidae), 개속(Canis), 회색 늑대 종(카니스 루푸스, Canis lupus)의 아종이다. 개의 학명은 카니스 루푸스 파밀리아리스(Canis lupus familiaris)이다. 개의 수명은 약 12∼16년이며 암컷 개의 발정 주기(estrus cycle)는 약 8개월이고 발정 기간은 14 ~ 20일가량이지만 임신 가능 기간은 발정 시작일로부터 10 ~ 14일이다. 임신기간은 62 ∼ 68일이고 한배에 4∼6마리를 낳으며 새끼를 낳은 1년 후에 다시 임신이 가능하다. 개는 민첩하고 빨리 달리며 시각, 후각, 청각이 예민하여 진동수 10∼70만 Hz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고 소리의 가락도 식별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잘 볼 수..

생물 2017.09.19

항생제 내성(抗生劑 耐性, antibiotic resistance)과 슈퍼 박테리아(super bacteria, supervugs)

항생제 내성(抗生劑 耐性, antibiotic resistance)과 슈퍼 박테리아(super bacteria, supervugs) 김진국 1.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s) 미생물을 죽이는 물질로는 항생제와 항균제가 있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항생제라 하며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합성물(화학적 합성)로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항균제(설파제 등)라 한다. 그리고 진균(곰팡이, 버섯, 효모, 진핵세포)을 죽이는 물질을 항진균제라 한다. 대부분의 항생제와 항균제는 진균을 죽이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항진균제도 세균(원핵세포)을 죽이지 못한다. 그런데 항생제, 항균제, 항진균제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항생제라는 용어로 쓰기도 한..

생물 2017.09.19

녹색혁명(綠色革命, green revolution)

녹색혁명(綠色革命, green revolution) (노먼 볼로그(Norman Ernest Borlaug), Sonora 64, 헨리 비첼(Henry Beachell), IR 8, 허문회, 통일벼) 김진국 1940~1970년대에 미국이 개발도상국에 농작물의 신 품종을 개발하여 농업 생산량을 높이도록 인적,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이들 국가의 식량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품종 개량에 이어 관계시설을 하고, 비료, 농약, 제초제, 농기계 등을 사용함으로써 농산물 생산량이 증대되어 세계 굶주림의 비율이 1960년대의 40%에서 1970년대의 17%로 감소하였다. 농업 분야에서 이러한 획기적 식량 증산을 가져온 변화를 미국 국제 개발청(USAID) 총재 가우드(William..

잡글 2017.09.14

벼와 쌀(현미, 백미)

벼와 쌀(현미, 백미) 김진국 벼(稻, 도, 禾, 화, Asian rice, Oryza sativa L. )는 벼과, 대나무 아과에 속하는 풀이다. 벼 게놈의 염색체 수는 2n=24이다. 벼는 약 8천 년 전에 중국의 양쯔강 가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설과 인도에서 최초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벼 속(Oryza)에는 야생종을 포함하여 약 23 종의 벼가 있고, 이중 재배종은 아시아 지역의 Oryza sativa 종과 아프리카 지역의 Oryza glaberrima 종이 있다. Oryza sativa 종에는 자포니카(Oryza sativa L. subsp. japonica K.) 아종과 인디카(Oryza sativa L. subsp. indica K.) 아종, 자바니카(Oryza sativa L...

잡글 2017.09.14

우리나라의 벼 재배

김진국 현재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의 대부분은 Oryza sativa 종이고 아프리카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Oryza glaberrima 종이 재배되고 있다. Oryza sativa의 기원은 동남아시아에 남아있는 Oryza balunga라고 추정되며 서부 아프리카에서 재배하는 Oryza glaberrima는 그 기원이 다르다. 약 8,000년 전에 재배가 시작된 Oryza sativa의 발상지는 동남아시아의 기온이 높고 다습한 지역인 것으로 생각되나 인도라고도 하고 양자강 유역이라고도 하였다. 야생종이 세계의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어디에서 경작종으로 개발되었는지 알기 어렵다. 열대지방에서 재배종으로 개발된 종은 열대 지방으로, 온대지방에서 개발된 종은 온대지방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러던..

잡글 2017.09.14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이론 확립 과정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이론 확립 과정(유성생식, 생식 과정에 대한 인식, 정자, 난자, 수정, 감수분열 발견) 김진국 1.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유성생식이란 자손을 생산하는 생식 방법의 하나이다. 암수의 구별이 있고 암컷의 생식세포인 난세포(난자)와 수컷의 생식세포인 정자가 수정하여 새로운 자손을 만드는 것이다. 유성생식을 알게 된 역사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679년 안톤 판 레이우엔훅(Antonie van Leeuwenhoek, 레벤후크, 네덜란드, 1632 ~ 1723)이 정자를 발견하였으며 그보다 먼저 1627년 흐라프(Regnier de Graaf, 네덜란드, 1641 ~ 1673)가 포유류의 난소에서 흐라프 여포..

생물 2017.08.03

DDT와 환경운동

DDT와 환경운동 (DDT의 인류 구제, DDT의 생물농축 및 피해,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 환경운동, DDT 사용 규제 논란) 김진국 1. 전염병의 창궐 옛날에는 전염병(傳染病, communicable diseases)으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 그중에 모기(mosquito)가 옮기는 말라리아(malaria, 학질, 말라리아 원충), 황열병(黃熱病, yellow fever, 아르보바이러스), 뎅기열(dengue fever, 뎅기 바이러스), 파리가 옮기는 이질(dysentery, 아메바성 이질,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typhoid, 살모넬라 티푸스균-세균), 이(lice)가 옮기는 발진티푸스(typhus fever, 균 Rickettsia prowazekii) 등 ..

잡글 2017.08.03

뇌의 작용 원리

뇌의 작용 원리 김진국 신경은 뉴런(neuron, 신경계의 단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 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신경계(末梢神經系, peripheral nervous system)로 나눈다. 중추신경은 뇌를 말하며 기억, 판단, 추리, 수의근 명령, 감정 등의 의식 작용을 하는 대뇌, 수의근의 운동과 자세를 담당하는 소뇌, 안구운동, 동공반사, 자세 등을 담당하는 중뇌(중간뇌), 자율신경과 호르몬을 조절하는 간뇌, 심장박동, 폐의 운동 등을 담당하는 연수, 배변 반사 등 척수 반사를 담당하는 척수가 있다. 이들 뇌는 뉴런을 여러 개 연결하고 여러 방식으로 연속적인 작용을 함으로써 다양한 논리를 형성한다. 말초신경은 감각신경, 운동신경, 자율신경(교감신경, 부교..

생물 2017.07.18

식물의 잎, 줄기, 뿌리

식물의 잎, 줄기, 뿌리 김진국 식물은 동물과 달리 스스로 이동할 수 없다. 그리고 광합성을 하여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며 세포에는 동물 세포와는 달리 엽록체, 세포벽, 액포 등이 더 있다. 식물의 몸은 발달 정도에 따라 다양하다. 이끼(선태식물)의 몸은 잎, 줄기, 뿌리의 구별이 불분명하다. 잎, 줄기, 뿌리의 작용이 나누어지지 않았다(분업화 안 됨). 몸의 모든 부분에서 물과 양분의 흡수가 일어나고 광합성도 모든 부분에서 일어난다. 그래서 물과 양분이 이동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다발이 없다. 뿌리는 물과 양분 흡수 능력보다 몸의 고정을 위한 헛뿌리를 가진다. 꽃도 피지 않고 홀씨로 번식한다. 유관속식물에는 양치식물(고사리류)과 종자식물이 있다. 고사리류(양치식물)는 잎, 줄기, 뿌리의 구분이 있고 ..

생물 2017.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