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1

잡종(hybrid, 雜種)

잡종(雜種, hybrid) 김진국 잡종(雜種, hybrid)이란 유전형질이 서로 다른 부와 모의 교배로 태어난 자손이다. 한 형질을 나타내는 유전자가 동형(homo) 일 때 순종(homo)이라 하고 유전자가 이형(hetero) 일 때 잡종(hetero)이라 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보통 잡종이라는 말은 동일 종 내의 종족, 품종, 혈통 또는 변종 간의 교배로 생기는 혼혈이나 교배종을 의미하지만 서로 다른 종(種), 속(屬)이나 과(科)인 부모 사이에서도 자손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잡종(hybrid, 雜種)이라는 용어는 매우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 두 종간의 잡종은 자연적으로도 나타나지만 대부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다. 종간의 교배는 대개 근본적인 생물학적 불화합성으로 인해 자손이 생겨도 자손이 이어지지 않는..

생물 2015.02.11

유전형질의 발현과 조절(operon)

유전형질의 발현과 조절(오페론, operon) 김진국 1. 유전자와 유전형질 사람과 동물의 눈을 비교해 보면 눈 모양, 홍채 색, 눈의 크기 등 모양이 다르고 색 구별 유무, 시각 범위, 시력 등 눈에서 일어나는 작용도 다르다. 이와 같이 생물에서 모양, 색, 작용 등 외부로 나타나는 모양과 작용을 유전형질이라 한다. 이런 유전형질을 나타내는 물질은 단백질이다. 그러므로 어떤 단백질이 만들어지느냐에 따라 생물의 모양과 작용이 정해지는 것이다. 어떤 단백질을 합성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정보를 유전 정보라 한다. 이 유전 정보를 가진 물질은 세포핵 속 염색사의 DNA에 있는 유전자이다. 부모가 푸른색 눈을 가지고 있고 아들딸이 푸른색 눈을 가진다면 푸른색 눈을 결정하는 유전자와 푸른색 눈을 만드는 단백질이 부..

생물 2014.11.24

우장춘 박사(우장춘박사 생애, 합종설, 배수체)

우장춘(禹長春) 박사 김진국 1. 출생과 생장 우장춘(1898 ~ 1959) 박사의 아버지 우범선은 조선말 개화파로 신기군의 훈련 2 대대장(參領, 참령, 소령에 해당)으로 근무하던 중 명성황후가 친일파에 의해 장악된 신기군을 해산시키자 이에 불만을 품은 신기군 군사를 이용하여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 梧楼)가 주도한 1895년(고종 32) 10월 8일 명성황후 시해 사건인 을미사변에 가담했다. 우범선은 시해 사건(을미사변)이 일어나던 날 신기군을 동원하여 일본 경찰과 군 그리고 일본 낭인을 경복궁으로 끌고 갔던 병력 동원의 책임자였으며 명성황후의 시신을 불태워 연못에 버리도록 지시했다고 역사에 기록되어 있다. 그 후 일본이 고종의 아관파천으로 조선에서 세력을 잃게 되자 역적이 된 우범선은 조선에서 ..

생물 2014.07.02

라면

라면 김진국 1. 라면 용어의 기원 중국의 면 요리에 들어있는 노란색의 굵은 국수가 라면이다. 라면의 어원은 중국어 라미엔(lamian, 拉麵, 랍면, 拉-꺾은 랍, 끌어갈 랍, 麵-밀가루 면)에서 유래하였다. 랍면은 송나라 때 밀가루 반죽을 두 손으로 당겨 내려쳐서 면을 가늘고 길게 뽑는 기술인 수타 기술이 개발되면서 만들어진 국수(밀가루, 쌀가루, 메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거나 국수틀로 가늘게 뺀 식품)다. 당겨서 만든 국수라는 뜻에서 보듯 수타면이 라면의 원형이다. 2. 일본 라멘(Ramen) 일본 라멘의 기원은 1870년 요코하마 발생설과 1922년 삿포로 발생설 두 가지가 있다. '지나 소바(支那そば)', '주가 소바(中華そば)' 또는 '남경(南京) 소바'라고 불렸다. 라멘(..

잡글 2014.07.02

화학적 진화(chemical evolution, 유기물합성, 막 형성, 핵산의 진화)

김진국 원시 생명체가 탄생하기 전에 원시 생명체에 필요한 물질이 무기물(원시 대기)에서 간단한 유기물(탄소화합물) 합성, 간단한 유기물(탄소화합물)에서 복잡한 유기물(탄소화합물), 복잡한 유기물(탄소화합물)로부터 막 구조가 합성되는 과정을 화학적 진화라 한다. 46억 년 전에 탄생된 지구는 냉각됨에 따라 40억 년 전쯤에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지표면에 내려옴에 따라 낮은 지표면에는 물로 채워져 바다가 되었고 바다는 아직 뜨거웠다. 공기 중에서나 바닷속에서는 서서히 간단한 유기물(탄소화합물)이 생성되었다. 당시 지표면이나 해수면은 우주 자외선 및 화산활동 가스에 의한 극한 환경이었지만 자외선이 차단된 심해에서는 무산소 대기로 탄화수소 유기화합물이 매우 적어 오히려 생명체의 탄생에 필요한 유기물 ..

생물 2014.05.28

인체의 적응과 진화

인체의 적응과 진화 김진국 1. 지역별 환경의 차이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위도에 따라 각 지방이 받는 빛의 양, 자외선의 양이 다르고, 기온도 다르다. 위도에 따른 기후환경요인의 차이를 보면 저위도 지방(열대지방)은 고위도 지방(극지방)에 비해 연중 일사량이 많아 상대적으로 밝고, 기온이 높으며 자외선도 많이 들어온다. 저위도 지방(열대지방)이 태양에너지를 많이 받는 이유는 고위도 지방(극지방)은 햇빛을 경사지게(태양의 고도가 낮음) 받는데 비해 저위도 지방은 햇빛이 땅에 직각으로(태양의 고도가 높음) 비추이기 때문이며, 자외선은 대부분이 오존층에 의해 차단되지만 일부가 지구로 들어오는데 그중 일부가 공기 중의 오염물질에 의해서 흡수된다. 고위도 지방에서는 햇빛이 경사지게 쪼이면 단위면적당 받는 자외선 ..

생물 2014.05.28

인류의 기원(탄생)과 진화(계통)

인류의 탄생과 진화 김진국 인간이 속해 있는 포유동물(젖먹이 동물)은 어류로부터 양서류를 거쳐 포유동물로 진화해왔다. 1. 인류의 기원(탄생) 사람은 두발로 걷는 영장류(영장목, primates)에서 직비원 아목(直鼻猿亞目, Haplorrhini), 원숭이 하목(猿下目, Simiiformes), 협비원 소목(狹鼻猿小目, Catarrhini), 사람상과(上科, Hominoidea, 호미노이드, 꼬리가 없음, 유인원)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된다. 사람 상과(上科, Hominoidea, 호미노이드, 유인원)에서 사람 과(Hominidae, 호미니드)와 긴팔원숭이 과(Hylobatidae,​ 꼬리가 없고, 뒷다리로만 걷고 앞다리로 물건을 쥘 수 있음)로 나누고 사람 과(Hominidae, 호미니드)에서 사람 아과..

생물 2014.05.28

생물체내에서 ATP에너지의 전환과 ATP 이용

생물체내에서 ATP 에너지 전환과 ATP 이용 김진국 생물체내에서는 광합성 과정(광인산화 작용)이나 세포호흡(세포질에서 일어나는 무기 호흡, TCA회로와 전자 전달계에서 일어나는 유기 호흡)으로 물질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물체가 사용하기에 가장 편리한 화폐와 같은 ATP라는 화학 에너지가 생성된다. ATP(adenosine triphosphate)란 아데노신(adenosine, 당+염기)에 인산(Phosphoric acid, H3O4P) 3개가 각각 인산 에스테르 결합(phosphoester bond)을 한 것이다. ATP는 인산 에스테르 결합에 고에너지를 저장하고 있어 인산이 떨어져 ADP로 될 때 고에너지가 방출되는 것이다. 생물체는 이렇게 ADP에 인산을 결합시켜 ATP가 합성될 때 에너지를 저장했..

생물 2014.05.15

근육섬유(근육세포)와 근육조직

근육 조직(Muscular Tissue) 동물은 자극을 받으면 반응을 하며 반응은 대부분 운동으로 나타난다. 동물의 운동은 골격과 근육으로 된 운동기관이 담당하며 근육의 수축 작용으로 골격이 움직이는 것이다. 동물의 운동기관을 기중기(起重機, 크레인, Crane)에 비유할 수 있다. 기중기는 팔, 축바퀴, 도르래, 로프(rope)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엔진이 작동하여 축바퀴에 로프(rope)를 감을 때 큰 힘이 생성되며 이 힘으로 로프(rope)를 당겨 팔과 삽이 움직이는 원리이다. 기중기에서 로프(rope)가 축바퀴에서 풀어질 때 풀어지는 힘으로 미는 작용을 할 수 없다. 로프(rope)가 풀려서 늘어날 때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반대쪽의 로프(rope)가 축바퀴에 감겨 당겨짐으로써 미는 작용이 일어난..

생물 2013.04.04

종두법(인두 접종법, 우두 접종법)

김진국 천연두(天然痘, 痘瘡, 두창, 마마, Smallpox)는 모든 연령층에서 variola virus(smallpox virus)에 감염되는 전염병으로 치사율이 20 ~ 60%나 되는 무서운 병이다. 그런데 옛날부터 천연두(天然痘, Smallpox)를 한번 앓고 살아남은 사람들은 이 병에 다시 걸리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다. 그래서 옛날에도 건강한 사람에게 천연두 균을 감염시켜 천연두를 약하게 앓도록 하여 천연두에 다시 걸리지 않게 하곤 하였다. 그 결과 천연두에 걸리지 않은 사람도 있지만 천연두에 걸려 죽은 사람도 있었다. 이와 같이 천연두(天然痘, 마마 두)를 예방할 목적으로 백신(천연두 균이나 우두 균을 약화시킨 것)을 인체의 피부에 접종하는 것을 종두(種痘, vaccination)라 한..

생물 2012.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