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1

식물의 생장(생장점, 형성층, 신장대, 상대생장, 생장상관)

식물의 생장 김진국 식물의 생장은 크게 영양생장(vegetative growth)과 생식 생장(reproductive growth)으로 나눌 수 있다. 영양생장(vegetative growth)은 잎, 줄기, 뿌리가 발생해서 성장하는 것이고 생식 생장(reproductive growth)은 꽃이 발생해서 종자가 성숙하는 것이다. 이들 식물의 생장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는 물질과 에너지는 잎에서 생성되는 광합성 산물이며 잎이 공급원이다. 잎에서 광합성 작용에 의해 생산된 물질은 먼저 잎에서 쓰이고 잎이 50% 이상 생장하면 뿌리 열매 등으로 이동된다. 이들 유기 양분을 이동 및 흡수하는 능력은 열매가 가장 강하고 잎, 뿌리 순이며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많은 식물은 잎에서 광주기성(光周期性, photo..

생물 2011.01.14

간수(艮水, 염화마그네슘, 苦鹽 고염, 苦汁 고즙)

간수(艮水, 염화마그네슘, 苦鹽 고염, 苦汁 고즙) 김진국 바닷물에는 여러 종류의 염이 많이 녹아 있다.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염의 종류)는 염화나트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염화칼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나트륨 등 종류가 많지만 염화나트륨(NaCl) 량이 가장 많다. 이들 염류의 조성비는 어느 바닷물에서나 일정하여 '염분비 일정 법칙(law of the regular salinity ratio)'이 성립한다. 해수에 녹아 있는 모든 염류의 총량을 해수 양에 대한 비로 나타낸 것을 염분(鹽分, salinity)이라 한다. 보통 해수의 염분은 35퍼밀(‰, 천분율, 3.5%) 정도로 민물(0.5‰이하)보다 매우 높다. 민물에 비해 바닷물의 염분이 높은 이유는 오랜 기간 비가 오면 흙, 모래 등에 있는..

생물 2011.01.14

생물 개체의 구성(세포, 조직, 조직계,기관, 기관계, 개체)

생물 개체의 구성 김진국 동물 1마리, 식물 1포기를 개체라 한다.동물 개체는 소화기관계, 순환기 관계, 호흡 기관계, 배설 기관계, 생식 기관계 등으로 구성되며 식물 개체는 잎, 줄기, 뿌리, 꽃, 열매 등의 기관으로 구성된다. 이들 각 기관계와 기관은 어떻게 구성되는지 알아보자.1. 개체(個體, individual)의 구성단계 구분 생물 개체도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자가 결합된 분자로 되어 있다. 특히 생물 개체는 핵산(DNA, RNA), 단백질, 녹말,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고분자(작은 분자가 수없이 결합된 큰 분자) 물질을 가지고 있다(인체 구성물질, 물 66%, 단백질 16%, 지질 13%, 무기염류 4%, 탄수화물 0.4% 등). 이런 물질들로 이루어진 세포(cell)가 생물체의 기본단위..

생물 2011.01.12

외호흡(外呼吸, external respiration)

외호흡(外呼吸, external respiration) 김진국 1. 외호흡, 내호흡 및 세포호흡 생물이 생명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래서 생물의 각 세포는 혈관으로 운반된 산소와 유기물(포도당 등)을 세포 속으로 흡수하고 세포 속에 있는 미토콘드리아에서 호흡 효소로 유기물과 산소를 산화반응을 일으켜 ATP를 생성한다. 생물은 이렇게 생성된 ATP를 에너지원으로 이용한다. 즉 ATP를 분해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로 생명활동을 한다. 이와 같이 유기물을 산화하여 발생하는 에너지를 ATP에 저장하는 작용을 호흡(呼吸, respiration) 혹은 세포호흡(cellular respiration)이라 한다.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는 세포호흡을 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을 섭취해야 하고 음식물을..

생물 2010.11.16

생명의 기원

생명의 기원 김진국 옛날부터 생명체는 자연적으로 발생한다고 믿어왔다. 이것을 자연 발생설이라 하며 예를 들어보면 된장 속에서 구더기가 저절로 생겨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레디가 생명체는 생명체로부터 생성된다는 생물 속생설(생명 속생설)을 발표하자 자연 발생설을 주장하는 과학자들과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 그런 와중에 프랑스 학자인 파스퇴르(Louis Pasteur, 1822~1895)가 백조목 플라스크를 이용하여 자연 발생설을 부정하고 생물 속생설을 확립하였다. 생물 속생설에 따라서 우리의 조상에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단세포가 생명체의 원조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달맞이꽃 중에서 돌연변이로 왕달맞이꽃이 생겨났다. 여기서 왕달맞이꽃은 달맞이꽃과는 다르게 되었지만 왕달맞이꽃의 조상과 달맞이꽃의 ..

생물 2010.11.02

다윈의 ‘종의 기원(The Origin of Species by natural selection)’

진화란 한 종류의 생물 중에서 어떤 개체가 변이를 일으켜 다른 종으로 변화하는 것을 말하며 이렇게 진화한 결과 한 종류에서 두 종류로 즉, 처음 종과 새로 생성된 종이 존재하게 되므로 종류가 다양해지고 체제가 복잡해지거나 단순하게 된다. 이런 진화론을 주장한 사람은 다윈 전에도 많았다. 대표적인 사람이 라마르크(Jean Baptiste Pierre Antoine de Monet Chevalier de Lamarck, 1744 ~ 1829, 프랑스의 식물학자, 동물철학 Philosophie Zoologique-용불용설), 다윈의 할아버지인 에라스무스 다윈(Erasmus Darwin, 1731 ~ 1802, Zoonomia-진화론, 영국, 박물학자), 맬서스(Thomas Robert Malthus, 176..

생물 2010.10.30

여성의 호르몬

여성 호르몬 김진국 뇌하수체 전엽(anterior pituitary gland)에서 분비하는 여포 자극 호르몬(FSH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황체형성 호르몬(LH, luteinizing hormone), 젖 분비 자극 호르몬(prolactin) 및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 thyroid stimulating hormone)과 난소에서 분비하는 에스트로겐(estrogen, estradiol, E2)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뇌하수체 후엽에서 분비하는 옥시토신(oxytocin), 그리고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러 호르몬은 난자의 생성과 배란, 임신 및 출산까지 영향을 준다. 뇌하수체 전엽(Posterior pituitary gland)에서 분비되어 난소를 자극..

생물 2010.10.27

사람의 유전병(遺傳病, hereditary disease)

사람의 유전병(遺傳病, hereditary disease) 김진국 총론 1. 유전자(遺傳子, gene)와 유전병(遺傳病, hereditary disease) 유전병은 유전자에 이상이 있고 이 유전자 이상에 의해 나타나는 형질이 자손에게 전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상한 형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이상한 유전자를 가진 생식세포를 생성하며 이 생식세포가 수정을 하면 이상한 유전자는 자손에게 전달되어 자손도 이상한 형질이 발현되게 되는 것이다. 즉 체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 체세포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도 자손에게는 유전되지 않으며 생식세포에 돌연변이가 일어나서 유전자에 이상이 생겨야 유전되는 것이다. 유전자는 핵 속에 있는 DNA에 있다. 1개에 DNA에는 몇 천 개의 유전자가 있다. 즉 유전자 한 개(한 개의..

생물 2010.10.27

술(술의 제조방법, 술의 종류, 발효주, 증류주)

술(liquor, alcoholic drink) 김진국 에탄올(C2H5OH)이 1퍼센트 이상 함유된 음료수를 술이라 한다.술을 의미하는 라틴어는 생명의 물(Aqua Vitae, 아쿠아 바이티, water of life)이다. 술은 한의학에서도 백약의 으뜸으로 치는 인간이 발명한 최고의 기호품이다. 그러나 지나치게 술을 많이 마시면 건강을 해친다고 한다. 하루에 소주 반잔 혹은 맥주 반 컵 정도의 음주는 건강에 도움을 준다고 하지만 그 이상은 건강에 해롭게 한다. 세계금주협회는 음주 자체가 건강에 해를 끼친다고 발표했다.1. 술의 기원 옛날 수렵과 채취 생활을 하던 시대에 과일이 자연적으로 발효된 술을 우연히 먹어본 인간이 그 맛에 반해 술을 만들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기록으로 볼 때 제일 먼저 대량..

잡글 2009.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