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글 35

대가천 수륜 오천 화살구미

대가천 수륜 오천(화살구미) 김진국 성주군(星州郡) 수륜면(修倫面)에는 가야산(伽倻山, 성주군 수륜면) 뒤쪽 물과 수도산(修道山, 김천시 증산면) 동쪽 물이 합해져 대가천(大伽川)을 이루어 고령 쪽으로 굽이굽이 흐른다(소가천 小伽川은 성주군 수륜면 백운동 가야산 남동쪽에서 고령군 덕곡면을 가로질러 흐른다.). 수 천 만년을 세차게 흐르니 산은 깎여 절벽이 되고 바위는 부서져 모래밭이 되었다. 냇물이 굽이치는 곳마다 넓은 들판을 이루니 산을 등지고 들판을 앞세워 옹기종기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들판은 넓고 냇물은 풍부하여 보를 막아 물을 논에 대니 가뭄 걱정 없이 쌀농사를 지어 잘 살아왔다. 수륜면(修倫面)은 옛날의 지사면(志士面)과 청파면(靑坡面)이 1934년에 합쳐지고 새로 붙여진 지명이다. 수륜면(..

잡글 2017.10.03

카눌라(Canola), 유채씨유

김진국 봄에 노란 꽃을 피우는 유채(油菜, 평지, Rapeseed)를 보았을 것이다. 유채라는 종명은 기름을 짤 수 있는 채소라는 의미이다. 지중해 원산이고 쌍떡잎식물, 양귀비 목, 십자화 과, 배추 속(Brassica)에 속하며 학명은 Brassica campestris subsp. napus var. nippo-oleifera MAKINO이다. 유채는 옛날에 야생의 배추 종과 야생의 양배추 종이 자연교잡으로 생성된 종이다. 2년생 초본으로 키는 80 ∼ 130㎝, 줄기는 표면이 매끄럽고, 원줄기에서 15개 내외의 가지가 갈라지고 기지에서 다시 2∼4개의 작은 가지가 생긴다. 잎은 피침형(披針形, 창끝 모양)으로 선단이 둔하며, 아랫잎은 긴 잎자루가 있지만 윗 잎에는 잎자루가 없다. 꽃은 4~5 월에 ..

잡글 2017.09.19

녹색혁명(綠色革命, green revolution)

녹색혁명(綠色革命, green revolution) (노먼 볼로그(Norman Ernest Borlaug), Sonora 64, 헨리 비첼(Henry Beachell), IR 8, 허문회, 통일벼) 김진국 1940~1970년대에 미국이 개발도상국에 농작물의 신 품종을 개발하여 농업 생산량을 높이도록 인적, 경제적 지원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을 지원함으로써 이들 국가의 식량 생산량이 획기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품종 개량에 이어 관계시설을 하고, 비료, 농약, 제초제, 농기계 등을 사용함으로써 농산물 생산량이 증대되어 세계 굶주림의 비율이 1960년대의 40%에서 1970년대의 17%로 감소하였다. 농업 분야에서 이러한 획기적 식량 증산을 가져온 변화를 미국 국제 개발청(USAID) 총재 가우드(William..

잡글 2017.09.14

벼와 쌀(현미, 백미)

벼와 쌀(현미, 백미) 김진국 벼(稻, 도, 禾, 화, Asian rice, Oryza sativa L. )는 벼과, 대나무 아과에 속하는 풀이다. 벼 게놈의 염색체 수는 2n=24이다. 벼는 약 8천 년 전에 중국의 양쯔강 가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설과 인도에서 최초로 재배되기 시작했다는 설이 있다. 벼 속(Oryza)에는 야생종을 포함하여 약 23 종의 벼가 있고, 이중 재배종은 아시아 지역의 Oryza sativa 종과 아프리카 지역의 Oryza glaberrima 종이 있다. Oryza sativa 종에는 자포니카(Oryza sativa L. subsp. japonica K.) 아종과 인디카(Oryza sativa L. subsp. indica K.) 아종, 자바니카(Oryza sativa L...

잡글 2017.09.14

우리나라의 벼 재배

김진국 현재 세계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의 대부분은 Oryza sativa 종이고 아프리카의 극히 일부 지역에서만 Oryza glaberrima 종이 재배되고 있다. Oryza sativa의 기원은 동남아시아에 남아있는 Oryza balunga라고 추정되며 서부 아프리카에서 재배하는 Oryza glaberrima는 그 기원이 다르다. 약 8,000년 전에 재배가 시작된 Oryza sativa의 발상지는 동남아시아의 기온이 높고 다습한 지역인 것으로 생각되나 인도라고도 하고 양자강 유역이라고도 하였다. 야생종이 세계의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므로 어디에서 경작종으로 개발되었는지 알기 어렵다. 열대지방에서 재배종으로 개발된 종은 열대 지방으로, 온대지방에서 개발된 종은 온대지방으로 전파되었을 것이다. 그러던..

잡글 2017.09.14

DDT와 환경운동

DDT와 환경운동 (DDT의 인류 구제, DDT의 생물농축 및 피해,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 환경운동, DDT 사용 규제 논란) 김진국 1. 전염병의 창궐 옛날에는 전염병(傳染病, communicable diseases)으로 많은 사람이 죽었다. 그중에 모기(mosquito)가 옮기는 말라리아(malaria, 학질, 말라리아 원충), 황열병(黃熱病, yellow fever, 아르보바이러스), 뎅기열(dengue fever, 뎅기 바이러스), 파리가 옮기는 이질(dysentery, 아메바성 이질, 세균성 이질), 장티푸스(typhoid, 살모넬라 티푸스균-세균), 이(lice)가 옮기는 발진티푸스(typhus fever, 균 Rickettsia prowazekii) 등 ..

잡글 2017.08.03

카메라 조작법과 작동원리

카메라 조작법과 작동원리 김진국 카메라는 풍경, 동물, 식물, 사람, 사물 등의 상을 종이나 회면에 나타내는 장치이다. 카메라(Camera)라는 명칭은 아치 모양의 방(arched chamber)을 의미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사진(포토그라피, Photography)이란 용어는 1839년 허셀(John Frederick William Herschel, 1792 ~ 1871 천문학자, 영국)이 처음 사용하였다.1. 카메라 조작법 카메라의 왕초보자라면 복잡한 매뉴얼을 모두 숙지하고 카메라를 사용한다는 것은 어렵다. 사용하면서 매뉴얼도 보고 이것, 저것 읽어 원리를 터득하여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가. 카메라를 떨어뜨리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잡고 무리한 힘을 가하지 말아야 한다.나. 카메라..

잡글 2017.03.16

날줄(longitude, 경사, 세로줄)과 씨줄(latitude, 위사, 가로줄)

날줄과 씨줄 김진국 날줄(경, 經, longitude, warp, 세로줄)과 씨줄(위, 緯, latitude, woof, 가로 줄)은 베 짜기에서 유래한다. 베 짜기에서 여러 가닥의 실을 길게 길이(length)로 늘어놓은 것을 날실(날줄, 經絲, 경사, 세로줄)이라 한다. 베 짜기에서는 날줄을 거는 것이 기본이 된다. 베 한 필(疋, roll, 피륙을 세는 단위)의 길이(length)와 폭(width)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베틀에 여러 개의 날줄을 늘어놓고, 이 날줄을 가로질러 하나씩 서로 바꾸어 실꾸리가 들어 있는 북(shuttle)이 왔다 갔다 하는 것이 베를 짜는 것이다. 이때 북(shuttle) 속에 있는 실이 풀려나가 날줄을 엮어 가는데 이렇게 엮어가는 실을 씨실(씨줄, 緯絲, 위사, 가로줄)..

잡글 2016.08.17

단술(감주,甘酒), 식혜(食醯), 조청(造淸), 엿, 식해(食醢)

단술(감주, 甘酒), 식혜(食醯), 조청(造淸), 엿(飴, 이), 식해(食醢) 김진국 단술(甘酒, 감주, 식혜)은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음료이다. 단술(甘酒, 감주, 식혜)을 만드는 과정은 먼저 쌀이나 찹쌀을 쪄서 고두밥(된밥)을 만든 다음 엿기름(보리를 싹 내어 말린 것-맥아, 麥芽, 아밀레이스라는 효소가 많이 들어 있음)을 분쇄하여 가루로 만들어 물에 녹인 엿기름 물에 넣어 60℃정도에서 10시간 정도 놓아두면 밥 속의 녹말이 아밀레이스(녹말을 엿당으로 분해시키는 효소)에 의해서 발효되어 엿당(맥아당)으로 변하여 물에 녹아 나온다. 이때 밥에 있던 셀룰로오스, 단백질, 지방 등은 그대로 밥찌꺼기로 남는다. 이 밥찌꺼기를 건져내고 남은 진한 액에 새로운 밥알을 넣어 가열하여 만든 것이 단술(감주, 식혜..

잡글 2015.03.25

라면

라면 김진국 1. 라면 용어의 기원 중국의 면 요리에 들어있는 노란색의 굵은 국수가 라면이다. 라면의 어원은 중국어 라미엔(lamian, 拉麵, 랍면, 拉-꺾은 랍, 끌어갈 랍, 麵-밀가루 면)에서 유래하였다. 랍면은 송나라 때 밀가루 반죽을 두 손으로 당겨 내려쳐서 면을 가늘고 길게 뽑는 기술인 수타 기술이 개발되면서 만들어진 국수(밀가루, 쌀가루, 메밀가루 등을 반죽하여 얇게 밀어서 가늘게 썰거나 국수틀로 가늘게 뺀 식품)다. 당겨서 만든 국수라는 뜻에서 보듯 수타면이 라면의 원형이다. 2. 일본 라멘(Ramen) 일본 라멘의 기원은 1870년 요코하마 발생설과 1922년 삿포로 발생설 두 가지가 있다. '지나 소바(支那そば)', '주가 소바(中華そば)' 또는 '남경(南京) 소바'라고 불렸다. 라멘(..

잡글 201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