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생물의 성 결정

생물의 성 결정 김진국 생물은 영원히 살기를 원한다. 그러나 생물의 수명은 유한하다. 예를 들어 동물의 수명은 성장기간의 5배 정도이므로 사람이 25세까지 성장이 가능하다고 보면 사람의 수명은 최대 125세이다. 수명이 유한한 생물이 영원히 살기 위해서는 자기와 같은 자손을 만들어 대를 이어가야 한다. 1. 무성생식(asexual reproduction)과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 자손을 만드는 생식 방법에는 자신과 완전히 같은 자손을 만드는 방법인 복제(체세포 분열), 즉 무성생식과 다양한 자손을 만들기 위해 암수 두 개체가 생식세포를 형성하여(감수분열) 혼합하는 유성생식이 있다. 무성생식 방법에는 이분법(이분열법, binary fission, 원핵세포의 핵분열은 무사 분열 ami..

생물 2008.11.04

신경계(뉴런, 탈분극, 흥분의 전도, 흥분의 전달, 중추신경, 말초신경)

신경계(뉴런, 탈분극, 흥분의 전도, 흥분의 전달, 중추신경, 말초신경) 김진국 1. 우리 몸의 조절작용 우리의 몸은 여러 조직들로 구성된 많은 기관들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의 몸이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들 여러 기관이 유기적으로 적절히 활동하여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들 여러 기관들이 어떤 시기에 어느 정도로 어떻게 작용하여야 될 것인지를 전체적으로 통합하여 조절하여 명령을 내리는 작용이 필요하다. 그래서 외부와 내부의 자극을 감지하여 전달받고 이들을 판단, 기억, 추리하고 조절하여 명령이나 정보를 보내고 이 정보를 반응기에 전달하여 반응하도록 하는 기관들이 있다. 판단, 기억 추리, 조절, 명령 등의 기능은 중추신경(뇌)이 담당하고 자극이나 신호, 명령 등을 전달하는 작용은 말초신경이나 호..

생물 2008.10.18

자극의 수용과 감각작용

자극(刺戟, stimulus)의 수용(受容, reception)과 감각(感覺, sensation) 작용 김진국 1. 자극(刺戟, stimulus)과 감각(感覺, sensation) 어떤 예쁜 것을 눈으로 보면 즐겁고, 너무 예쁘다면 긴장되고 가슴이 띤다. 이때 어떤 사람은 가슴으로 느낀다고 말하며, 글로 표현되어 있는 곳도 있다. 정말로 너무 예쁜 것을 보면 가슴으로 느낄까? 아마 ‘너무 예뻐 가슴이 뛴다.’ ‘가슴이 뛸 정도로 예쁘다.’라는 표현과 같은 사실적이 아닌 감성적인 다른 표현 일 것이다. 가슴속에는 폐와 심장이 있는데 폐와 심장으로 느낀다는 말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느끼는 곳은 대뇌이고 대뇌가 강한 자극을 받아 흥분되면 교감신경과 호르몬의 작용으로 몸이 긴장되고 심하면 전율하게 된..

생물 2008.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