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빛과 물체의 색

빛과 물체의 색 김진국 1. 물체의 색 어떤 물체가 특정한 색으로 보인다는 것은 빛이 물체에 비칠 때 일부 색의 빛이 물체에 흡수되고 남은 색깔의 빛이 반사되어 우리 눈으로 들어오는 것을 느끼는 것이다. 붉은 옷을 입은 사람을 어두운 밤에 보면 검게 보인다. 이것은 붉은 옷에 비치는 빛이 약해 반사되는 붉은색의 빛도 약하므로 붉은색의 빛을 느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머지 모든 색의 빛이 흡수되므로 주위보다 반사되는 빛의 양이 적어 더 검게 보이는 것이다. *빛의 파장과 진동수(주파수) 파장(1nm=10의-9승 m), 진동수(주파수, 1 THz=10의 12승 Hz) 원적외선 25,000 nm이상, 12 THz 이하 중적외선 3,000∼25,000 nm, 12~100 THz 근적외선 750∼3,000 nm..

생물 2007.06.02

나무의 모양

식물을 가까이서 보면 잎의 모양, 크기, 무늬, 털의 유무, 줄기의 크기, 모양 등의 세세한 부분을 볼 수 있다.멀리서 보면 세세한 면은 볼 수 없지만 나무의 전체적인 미를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수관(樹冠, canopy, crown)이라 한다. 공원과 같은 넓은 곳에서 느티나무의 둥그런 모양, 히말라야시다의 삼각형 등 멀리서 감상할 수 있는 또 다른 아름다움들이 있다. 도시의 건축에서도 과거와는 달리 미관을 중시하여 여러 형태의 건물들이 세워지고 있다. 단지 미관을 위해서 인지, 공간 시용의 효율성을 위해서인지 둘을 모두 만족시키는 것인지는 목적에 따라 다를 것이다. 식물에서도 이런 아름다운 모습을 나타내는 목적이 있을까?생물의 행동에는 목적이 있다. 식물도 생물이므로 당연히 목적이 있다. 식물은 살..

생물 2007.06.02

면역계

우리 몸에는 외부에서 침입하는 병원균이나 이물질(항원)을 막아내는 방어체계가 있다. 예를 들어보면 소화기관인 위에서 염산을 분비하여 음식물에 포함된 병원균을 죽이거나 눈물, 콧물, 점막, 피부 등의 작용으로 병원균의 침입을 막는 것을 1차 방어 작용이라 한다. 그런데 1차 방어로 항원이 제거되지 않으면 2차 방어가 일어난다. 2차 방어에는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나뉘며 후천성 면역에는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이 있다. 선천성 면역은 염증 반응과 같이 모든 균에 작용(비특이적)하는 대식세포 등의 식균 작용으로 병원균을 제압하는 것이다. 후천성 면역은 특별한 항원에만 작용하는 특이적이다. 세포성 면역은 대식세포 등이 항원에 대한 정보를 T-림프구에 넘겨주면 특별한 항원에 작용하는 Tc-림프구가 식균..

생물 2007.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