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2

꽃눈(花芽) 형성(C/N 비율, 광주기성, 춘화)

꽃눈(花芽) 형성(C/N 비율, 광주기성, 춘화) 김진국 식물은 환경이 좋지 않아 생명이 다할 때쯤 되면 씨(종자)를 만들어 어려운 환경을 견디고 환경(온도, 수분, 빛 등)이 좋아지면 다시 종자가 발아하여 왕성한 광합성 작용으로 양분을 생산하여 생명활동을 하고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양분을 저장한다. 종자식물은 씨(종자)를 생성하기 위해 꽃을 피운다. 그러면 식물은 꽃을 피울 시기를 어떻게 정할까? 식물의 일생에서 꽃이 피면 밑씨(胚珠, 배주, ovule)에서 배낭모세포의 감수분열과 배낭세포의 분열로 난세포가 생성되며 수술의 꽃밥에서 화분모세포가 감수분열로 꽃가루(화분)가 만들어지고 꽃가루의 핵분열로 정핵이 생성된다. 밑씨 속에서 난세포와 정핵이 수정하여 수정란이 되며 수정란이 난할을 하여 배(胚, em..

생물 2011.11.14

포도(葡萄, grape)

김진국 포도(葡萄, grape)는 유관속식물문 속씨 식물군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s) 포도나무과(Vitaceae) 포도나무속(Vitis)에 속하는 식물로 학명은 Vitis vinifera L.이다. 포도의 원산지는 흑해 연안과 코카서스(Caucasus, 캅카스, 카프카스)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포도주는 8,000년 전 조지아(Georgia, 코카서스 지역)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포도는 고려 시대 이전에 중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포도(葡萄, 葡 포도 포, 萄 포도 도)란 이름의 유래는 박트리아어(Bactrian, Bactria 아프가니스탄 북부와 타지키스탄 남부)에서 포도주를 뜻하는 단어 bādāwa(바다와)가 중국에서 葡萄(buo dau)로 음차(音借)되었고 이것이 우리나라로 ..

동식물 2011.11.05

무(Radish, 무우)

무(Radish, 무우) 김진국 무는 유관속식물문 속씨식물군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십자화과(十字花科, Brassicaceae) 십자화과속에 속하는 1년생 또는 2년생 식물로 학명은 Raphanus sativus이고 무우, 무시라고하며 한자로는 나복(蘿蔔)이라 한다. 무의 전파 경로는 지중해 지방에서 자라던 무가 중국에 BC 400년쯤에 재배되기 시작하였고, 이것이 다시 한국으로 건너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무의 꽃눈은 0~13℃의 저온을 지나야 개화하는 1~2년생 식물로 춘화형이다. 즉 무가 꽃이 피려면 꽃눈이 저온에 노출되어야한다. 저온에 노출된 꽃눈은 온도가 높아지고 낮이 길어지는 봄에 개화한다. 그래서 따듯한 지방에서는 늦가을에 파종하여 월동하여 봄이 되면 개화하여 씨앗이 맺힌다. 추운지방에서는 ..

동식물 201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