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키니(Pikinni)와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
김진국
1. 핵폭탄 실험 장소 피키니(Pikinni)
비키니 환초(Bikini Atoll, Pikinni Atoll, Eschscholtz Atoll, 에솔츠 환초)는 태평양의 마셜 제도(마셜 제도 공화국, Republic of the Marshall)의 랄리크 열도에 위치한 환초이다. 평균 높이가 해발 3m밖에 되지 않은 섬들로 이루어져 있다.
피키니 환초(Pikinni Atoll, Bikini Atoll)는 북동쪽으로 휘어져서 좁은 활 모양을 하고 있으며 피키니(Pikinni, Pik는 surface이고 ni는 coconut, 코코넛의 껍질을 의미함) 섬은 피키니 환초(Pikinni Atoll, Bikini Atoll)에서 가장 큰 섬이다.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는 에솔츠 환초(Eschscholtz Atoll, 환초는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산호초)라고 불렀으며 미크로네시아 인이 수 세기 동안 살고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의 점령 하에 있다가 1944년 마셜 제도에서 미군의 공격에 패한 일본군이 철수하자 여러 섬과 환초는 미군이 점령하게 되었다.
미국은 1946년 피키니(Pikinni) 환초를 미국 핵폭탄의 실험장으로 계획했다.
이에 따라 피키니(Pikinni) 환초의 167명의 원주민에게 이주할 것을 요구하자 추장이 동의하여 임시로 인근의 롱겔라프(Rongelap) 섬으로 이주시켰다.
미국의 원자폭탄 실험은 미국 뉴멕시코에서 행해진 1945년 7월 16일의 트리니티 실험(Trinty Test, 암호명은 가제트 gazette)이 처음이고, 그리고 2차 대전의 히로시마(1945년 8월 6일, 리틀보이)와 나가사키 원폭(1945년 8월 9일, 팻맨)이 두 번째이다. 이어서 피키니(Pikinni) 환초에서 크로스로드(Crossroads)라는 암호명으로 핵실험이 계획되었다. 이에 따라 피키니(Pikinni) 환초의 167명의 주민을 인근의 롱겔라프(Rongelap) 섬으로 강제 이주시켰다. 이 실험의 목적은 강력한 핵을 과시하고 해군 선단에 미치는 핵폭발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그래서 섬에는 몇 만 마리의 소, 돼지 등의 가축을 놓아두고 바닷가에는 수십 척의 폐군함을 갖다 놓았다.
이때 실험한 원자 폭탄의 이름이 피키니 헬렌(Pikinni Hellen)이었다. 이 실험은 수중 폭발(Baker)과 공중 폭발(Able)의 2회로 실행되었다.
1946년 7월 1일과 25일에 이 환초에서 최초로 공개 핵실험을 실시했는데 순식간에 불바다가 됐다.
그 섬에 있던 동물은 모두 죽고 배는 일부 사라지거나 대파되었다. 히로시마 원자폭탄으로 핵폭탄의 가공할 만한 위력을 알고 있었지만 공개 핵실험으로 나타난 참상은 충격적이었다. 이 실험으로 피키니(Pikinni) 섬을 비롯하여 섬을 감싸고 있던 산호초가 두 동강이 났다.
공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 소식은 세계의 온 언론에 대서특필 되었다.
1947년 국제연합은 피키니(Pikinni) 섬을 포함하는 태평양 제도를 미국이 신탁통치를 하도록 결정하였다.
1948년에는 이주시킨 원주민들이 굶주린 생활을 하고 있다는 것이 알려져 다시 이주시켜 안정한 생활이 되도록 개선하였다.
그 후 1952년과 1954년(캐슬 브라보 Castle Bravo)에 실시한 수소폭탄 실험으로 비키니 환초 근처의 에네웨타크 산호초(Enewetak Atoll)가 사라졌다. 비키니(Bikini) 환초에 투하되었던 수소폭탄(Hydrogen bomb, 열핵 폭탄, 熱核爆彈, thermonuclear bomb)은 히로시마에 투하되었던 핵폭탄보다 천배 이상 강한 충격적인 것으로 대부분의 생물은 죽고 먼 곳에서 살아남은 거북이는 방향감각을 잃고 이리저리 헤매는 모습이었다.
비키니(Bikini) 환초에서 1946년 공개 핵폭탄 실험을 한 이래로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실험을 수십 번 했다.
수소폭탄(水素爆彈, hydrogen bomb)은 1차 원자폭탄(핵분열탄)의 초고열, 초고압을 기폭제로 이용하여 2차 수소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원리로 만들어진 열핵 폭탄(thermonuclear bomb)이다.
미국은 1969년이 되어서야 1946년에 이주시켰던 원주민들의 귀향을 허용했다. 원주민들은 비키니(Bikini) 환초로 돌아와 생활을 하였으나 핵실험으로 인한 방사선 때문에 암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기형아가 태어나는 등 원자력 피해를 겪었다. 결국 원주민들은 1978년 다시 섬을 떠났다.
미국은 원주민에게 1억 5천만 달러를 배상했으며 2010년에는 핵폭탄 참상을 기록하는 의미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그리고 지금은 기후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지구온난화로 지구 해수면은 1901년 이후 약 19㎝ 상승했다. 마셜 군도의 섬들은 평균 해발 고도가 3m로 해수면 상승의 위협에 직면한 것이다.
* 세계의 핵폭탄 실험
1) 최초의 핵포탄 실험, 1945년 07월 16일, 미국, 명칭 트리니티, 가제트 (Gazdget, 암호명), 핵분열탄(원자폭탄), 플루토늄 내폭형 핵무기, 장소는 뉴멕시코주 앨라모고도(Alamogordo) 사막.
2) 미국, 1946년 7월 1일과 25일, 크로스로드(Crossroad), 공개된 수중 핵실험, 장소는 태평양 비키니 환초
3) 소련, 1949년, RDS-1, 핵분열탄(원자폭탄), 장소는 카자흐스탄의 세미팔라틴스크(Semipalatinsk).
4) 미국, 1951년, 아이비 마이크(Ivy Mike), 최초의 핵융합탄(수소폭탄), 첫 실험은 1951년 태평양 비키니 환초 근처의 에네웨타크 환초(Enewetak Atoll)에서 실시되었다.
5) 영국, 1952년, 허리케인, 핵분열탄(원자폭탄), 실험 장소는 호주 북동부의 몬테벨로 섬(Montebello Island)에서 실시되었다.
6) 소련, 1953년, RDS-6s, 핵융합탄(수소폭탄), 장소는 카자흐스탄의 세미팔라틴스크(Semipalatinsk).
7) 미국, 1954년, 수소 핵폭탄, 캐슬 브라보(Castle Bravo), 건식 핵융합 열핵 폭탄, 미국 역사상 최대 위력의 핵무기, 장소는 비키니 환초.
8) 소련, 1955년, RDS-37, 최초의 열핵 폭탄(수소폭탄), 장소는 카자흐스탄의 세미팔라틴스크(Semipalatinsk).
9) 영국, 1957년, Green Bamboo, Green Grass, 열핵 폭탄(수소폭탄), 호주 북동부의 몬테벨로 섬(Montebello Island)에서 실시되었다.
10) 프랑스, 1960년, 푸른 날쥐(Gerboise Bleue), 핵분열탄(원자폭탄), 실험 장소는 알제리 남부 사하라 사막.
11) 소련, 1961년, 차르 봄바(Tsar Bomba, Tsar-bomb, 황제 폭탄, Big Ivan 수소폭탄, AN602)는 핵융합탄(수소폭탄)으로 실험 장소인 북극해 노바야 제믈랴 제도(Novaya Zemlya archipelago)에 Tu-95 폭격기(투폴레프 Tu-95, 전략폭격기)를 이용하여 낙하산으로 투하하였으며 인류 역사상 최대 위력으로 1000km 떨어진 곳에서도 폭발하는 모습이 보였으며 지진파는 지구를 세 바퀴를 돌았다. 차르 봄바(Tsar Bomba, Tsar-bomb, 황제 폭탄, Big Ivan 수소폭탄, AN602)는 수소폭탄 분야의 미국과의 경쟁에서 앞서기도 했다.
노바야 제믈랴 제도에서 260여 회의 핵실험이 실시되었다.
노바야 제믈랴 제도(Novaya Zemlya archipelago, Novaya Zemlya, 우리나라 크기 정도)는 북쪽의 빙하로 덮여 있는 세베르니 섬(Severny Island)과 조금 작은 남쪽의 유즈니 섬(Yuzhny Island), 그리고 그 주변의 작은 섬들로 되어 있으며 유즈니 섬(Yuzhny Island)에는 400여 명의 주민과 북극여우, 나그네쥐, 순록, 북극곰, 범고래, 물개 등이 서식하고 있다.
12) 중국, 1964년, 596, 핵분열탄(원자폭탄), 장소는 위구르 지역의 소금 호수인 로프노르(Lop Nur).
13) 중국, 1967년, 열핵 폭탄(수소폭탄), 장소는 위구르 지역의 소금 호수인 로프노르(Lop Nur).
14) 프랑스, 1968년, 카노푸스, 열핵 폭탄(수소폭탄), 장소는 알제리가 독립하자 태평양 폴리네시아의 모루로아(Moruroa) 환초와 팡가타우파(Fangataufa) 환초이다.
프랑스는 이 지역에서 대기 중 50회, 지하 160회의 핵실험을 오랜 기간에 걸쳐 실시하여 태평양의 넓은 지역을 오염시킴에 따라 비난을 가장 많이 받았다.
15) 인도, 1974년, 미소 짓는 부처, 핵분열탄(원자폭탄), 장소는 라자스탄 주 포카란(Pokhran)의 지하 핵 실험장
16) 파키스탄, 1998년, 차가이-I, 핵분열탄(원자폭탄), 장소는 차가이 지역(Chagai-I) 산악지대
17) 북한, 2006년, 플루토늄 핵분열탄(원자폭탄), 장소는 풍게리
+ 국가별 핵실험 횟수
미국, 1032회
소련, 715회
프랑스, 198회
영국, 45회
중국, 44회
인도, 6회
파키스탄, 6회
* 최초의 실전 사용 핵무기
1) 미국, 1945년 08월 06일, 리틀 보이, 히로시마, 우라늄 포신형 핵무기
2) 미국, 1945년 08월 09일, 팻맨, 나가사키, 플루토늄 핵무기
2.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
수영복(Bathing Suit)은 해변에서 휴가를 즐기기 시작한 19세기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수영이 대중화된 것이 19세기말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수영복 노출이 사회적 논란거리가 되기도 했다.
1907년 호주 출신의 수영 선수이며 여배우인 아네트 켈러먼(Annette Kellerman, 영불 해협의 수영 횡단에 도전한 최초의 여성)이 미국 보스턴 비치에서 몸에 붙는 원피스(one piece) 수영복을 착용하고 광고하였다고 공공장소 음란죄로 체포되기도 하였다. 1910년 이후에 지금의 원피스(one piece) 수영복이 등장했다.
남성의 수영복도 처음에는 다리까지 내려오는 원피스(one piece) 형이었지만 20세기에 들어와서부터 상의가 없어지고 하의만 입는 형태로 바뀌었다.
현대의 투피스(two piece) 수영복인 비키니(Bikini)는 1946년 7월 29일, 파리의 패션쇼에 처음 등장했다.
그 시절 미국은 1946년 7월 1일과 7월 25일 태평양 피키니(Pikinni) 섬에서 공개 핵실험을 실시했다. 공개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 소식은 세계의 온 언론에 대서특필 되었다. 그 시절 이 소식은 세계를 뒤흔드는 토픽이었다.
프랑스에서는 핵폭탄이 화제가 되고 있던 1946년 7월 29일에 파리에서 루이 레아(Louis Reard, 1897 ~ 1984)의 수영복 대회가 열렸던 것이다.
두 달 전인 1946년 6월에 디자이너 쟈크 에임(Jacques Heim, 1899 ~ 1967)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수영복(The world's smallest bathing suit.)'이라는 광고를 하면서 엉덩이를 덮을 정도의 윗도리와 짧은 바지 형태의 투피스(two piece) 수영복 Le atome(The atom, 원자)을 발표하였다.
그러자 1946년 7월 29일 프랑스 파리에서 속옷 가게를 하던 자동차 엔지니어 루이 레아(Louis Reard, 1897 ~ 1984)는 이탈리아의 로마 벽화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마지막 한계라는 모티브로 투피스(two piece) 수영복을 개발하였다. 이 수영복에 붙일 이름을 찾기 위해 고심하던 중 그때에 최고의 화제였던 원자핵폭탄에서 찾았다. 핵폭탄의 위력을 가졌다는 의미로 핵포탄 실험 장소인 피키니(pikinni, pik는 surface, ni는 coconut, 코코넛의 껍질) 섬 이름에서 차용하여 비(bi, 두 개) 키니(kini, 수영복)라는 용어로 합성하여 처음 사용하였다. 그는 상표등록까지 했다. 그 이후 kini는 수영복을 의미하는 접미사가 되었다(마이크로키니, Microkini, 모노키니, Monokini 등).
비키니(Bikini)는 극단적인 형태였다.
당시 보수적 프랑스 사회 분위기에서 비키니(Bikini)를 입으려는 모델이 없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카바레 스트립 댄서를 고용하여 무명천에 신문지를 도안해서 프린트한 비키니(Bikini)를 입히고 무대에 세웠다. 관중들은 비키니(Bikini)를 보는 순간 핵폭탄을 맞은 듯 충격을 받았다.
루이 레아는 세상에서 가장 작은 수영복보다 더 작은(smaller than the smallest bathing suit in the world)이라는 내용으로 광고를 하였다.
당시 프랑스에서 만든 비키니(Bikini)는 그야말로 유럽 사람들을 충격에 빠지게 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아예 착용을 금지했다.
이렇게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라는 수영복과 용어는 프랑스에서 탄생되어 유럽에서 먼저 사용되었고 다시 미국으로 전파되었다. 그 이후 피키니(Pikinni)라는 지명도 비키니(Bikini)와 같이 사용되고 있다.
피키니(Pikinni)와 비키니(Bikini, two piece swimsuit).hwp
'잡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 쌀, 밀, 밀가루(도정, 搗精, polishing과 제분, 製粉, milling) (0) | 2018.06.10 |
---|---|
유과(산자, 강정)와 엿강정(어리) (0) | 2018.06.10 |
식용유 채유(식용유 짜기) (0) | 2017.11.06 |
등불(light, lamp), 등잔, 호롱불 (0) | 2017.11.01 |
스푸트니크 쇼크(Sputnik shock) (0) | 2017.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