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71

천연조미료(natural seasoning agent)와 인공조미료(synthetic flavoring matter, 화학조미료, Flavor)

우리가 먹는 음식의 재료 중 당이나 지방, 아미노산은 특별한 맛이 있지만 녹말, 단백질, 셀룰로오스 등은 아무런 맛이 없다. 주로 맛이 없는 식재료나 맛이 나쁜 식재료로 만드는 음식에 맛을 돋우기 위해 넣는 재료를 조미료(調味料)라 한다. 조미료는 후각, 미각을 자극하여 식욕을 돋우고 소화샘의 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가 잘 되게 한다. 조미료는 식품을 조리할 때에 넣는 경우와 식탁에서 먹을 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조미료의 원료는 소금을 제외하고는 주로 식물성인 것을 이용하며 동물성인 것은 많지 않다. 조미료는 짠맛, 쓴맛, 단맛, 신맛, 감칠맛, 향기 중에서 한 가지를 위한 것과 몇 가지를 함께 이용하는 것이 있다. 조미료는 음식 고유의 맛을 유지하고 기호에 맞추어 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리된 ..

카테고리 없음 2024.11.13

발생 반복설(發生反復說, recapitulation theory, 반복설, 진화재연설, 생물발생법칙 生物發生法則 biogenetic law)

1. 개체 발생(個體發生, ontogenesis)과 계통발생(系統發生, phylogeny) 개체 발생(個體發生, ontogenesis)이란 수정란이 난할, 체세포 분열, 조직 분화, 기관 형성, 성체로 변화하는 과정이며, 계통발생(系統發生, phylogeny)이란 생물의 여러 속(屬), 종(種)들이 오랜 기간 동안 진화해 온 과정을 말하며 이 용어는 독일의 생물학자 E.H. 헤켈(Ernst H. Haeckel, 1834~1919, 독일, 동물학자, 의사, 철학자, 우생학자, 화가)이 처음 사용하였다. 오늘날의 다양한 생물들은 먼 옛날에 공통의 선조인 1 ∼ 3종류에서 갈라져 나온 것으로 추측한다. 어떤 한 종의 조상이 한 종으로만 계속 진화한 것이 아니라 공통의 선조로부터 점차 분화되어 여러 종으로 진화..

카테고리 없음 2024.02.29

면역(immunity)과 백신(Vaccines)

1. 짚신벌레 식포(food vacuole) 짚신벌레 크기는 얼마쯤 될까?대답은 손가락 굵기만큼 크다고 대답했다. 책에 있는 짚신벌레 그림의 크기가 손가락 정도라는 것이었다.짚신벌레의 실제 크기는 0.5mm(0.2 ~ 0.3mm) 정도니까 잘 보면 볼 수도 있다. 짚신벌레는 진핵세포이고 단세포 생물이다. 하나의 세 포로 된 개체에 입에 해당하는 구강홈(oral groove)이 있고 먹은 유기물을 식포(food vacuole)에서 소화 흡수하여 물에서 흡수한 산소와 같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며 이산화탄소는 막을 통해 밖으로 배출하고 남은 쓰레기 덩어리를 세포항문(anal pore)을 통해 밖으로 버릴 뿐만 아니라 수축포(contractile vacuole)로 오줌을 배..

카테고리 없음 2024.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