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식물

낙화생(땅콩, peanut)

진국 2011. 11. 5. 12:42

낙화생(땅콩, peanut)

김진국

땅콩(peanut, groundnut, earthnut, goober)은 유관속식물 문 쌍떡잎식물 군(Dicotyledones) 이판화 군 장미목 콩과(Fabaceae) 땅콩 속(Arachis)의 한해살이풀이며 호콩(胡豆), 낙화생(落花生, Arachis hypogaea L.)이라고도 불린다.
땅콩의 원산지는 남미 볼리비아 남부의 안데스 산맥이다.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BC 850년경에 페루, BC 200년경에 멕시코에 전파되었다. 그리고 신대륙이 발견(1492) 된 16세기 이후에 브라질에서 아프리카, 인도, 에스파냐를 거쳐 남유럽으로 전파되었으며 동양에는 페루에서 직접 중국으로 전파되었으며, 한국에는 1780년쯤에 중국에서 들여온 것으로 추정된다.
오늘날 재배되고 있는 땅콩(Arachis hypogaea L.)은 2종의 합성으로 생성된 종으로 2가지 염색체 조합으로 된 이질 4 배체(allotetraploid, AABB, 2n=4x=40)이다(n는 생식세포 haploid 단배체 반수체, 2n은 체세포 diploid, x는 배수성 set, x=monoploid, 일배체, 4x=tetraploid, 사배체).
재배종의 원형 야생종은 4배체인 Arachis monticola Krapov. & Rigoni이며 이 종은 Arachis duranensis Krapov. & W. C. Greg. 와 Arachis ipaensis Krapov. & W. C. Greg. 의 잡종으로 합성되었다는 것이다.
땅콩을 영어로 peanut이라 하며 끝에 nut라는 접미사가 붙었지만 견과(한 개의 씨를 포함하고 갈라지지 않는 마른 열매, 호두, 밤 등)는 아니고 건과(乾果)의 하나인 협과(莢果, 꼬투리)로 씨방이 성숙하여 열매로 건조하면 두 줄로 쉽게 갈라진다.
땅콩의 원줄기는 약 60㎝ 높이로 자라는데, 밑동에서 갈라져 나온 곁줄기는 원줄기보다 더 길게 1∼1.5m 길이로 땅을 기듯이 자라며 줄기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2쌍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이고 줄기에 어긋나기로 붙어있다.
꽃은 잎 밑에서 나는데 꽃자루는 없으며 노란색 나비 모양이다. 꽃은 여름 아침에 꽃잎이 열리고 낮에는 꽃잎이 닫히는데, 이 기간에 자화 수분(自花受粉)이 되고 이어서 수정이 된다.
수분이 된 다음 닷새쯤 뒤부터 씨방의 바로 아랫부분인 씨방 자루(gynophore)가 땅 쪽으로 굽어서 길게 자란다. 그 결과 수정된 씨방은 땅으로 들어가게 되는데 땅 속 3∼5㎝에서 열매가 된다. 이와 같이 꽃이 땅속으로 내려가 열매가 된다고 낙화생(落花生, peanut, Erdnuss, goober)이라 한다. 보통 땅 속에 열리는 콩이라고 땅콩이라 하지만 중국을 거쳐 들어왔다고 땅콩(唐豆), 호콩(胡豆)이라고 한다. 땅에 묻힌 줄기 부분에 생긴 땅 속 꽃 안에서 자화 수분이 되어 결실되는 경우도 있다. 땅콩의 씨방 자루(gynophore)는 20㎝쯤 자란다.
열매는 협과(莢果, 꼬투리)로 껍질을 형성하는데 이것을 꼬투리라고 한다. 꼬투리는 길이가 2∼5㎝로 잘록하게 마디져 있다.
꼬투리 속에 종자가 들어있는데( 꼬투리에 종자가 들어 있는 상태를 낙화생이라고도 함) 땅콩의 종자도 땅콩이라 한다. 1개의 꼬투리에는 보통 땅콩이 2개씩 들어 있지만 품종에 따라 1∼3개, 또는 5개까지 들어 있는 것도 있다.
땅콩(종자)은 길이 약 2㎝인데 약 1㎝인 것도 있으며 겉에는 주황∼붉은 갈색의 얇은 종피로 덮여 있다.
땅콩은 사람이 먹는 부분인 배(胚, 어린 생명)는 2장의 떡잎과 이것들의 접속부에 어린잎, 어린줄기, 어린뿌리로 되어있다. 땅콩은 배젖을 저장한 떡잎(2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배젖 기관은 퇴화되어 따로 없다.
땅콩은 햇볕이 잘 쬐고 건조하며 기온이 높은 곳의 모래땅에서 잘 재배되며 최적 온도는 25∼27℃이다.
물이 부족하여 건조하고 양분이 적은 모래땅과 같은 척박한 곳에서 잘 자라므로 구황작물(救荒作物, emergency crop)로 많이 이용되었다.
단점은 재배에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한다.
땅콩의 구성 물질은 단백질 25%, 지방질 47%, 탄수화물 16%이고, 그 밖에도 무기질(특히 칼륨)과 비타민 B1, B2, 니아신 등이 풍부한 영양식품원이다. 보통 크기가 큰 땅콩은 볶아서 간식이나 과자, 등의 재료로 이용하며, 크기가 작은 콩은 기름을 짠다. 땅콩을 냉각, 압착하여 추출하는 땅콩기름은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을 40∼60% 함유한 고체에 가까운 약불건성유(弱不乾性油)로, 샐러드기름, 튀김기름, 쇼트닝, 마가린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낙화생(땅콩).hwp



낙화생(땅콩).hwp
0.01MB

'동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葡萄, grape)  (0) 2011.11.05
무(Radish, 무우)  (0) 2011.11.05
상추(lettuce)  (0) 2011.11.05
도토리(acorn)  (0) 2011.11.05
대나무(竹, Bamboo)  (0) 2011.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