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화살구미
검색하기

블로그 홈

화살구미

339kjk.tistory.com/m

진국 님의 블로그입니다.

구독자
0
방명록 방문하기

주요 글 목록

  • 식물 영양소(植物 營養素, plant nutrient) 1. 식물체의 구성 성분 가. 건조 중량(乾燥重量, dry weight) 식물체의 생중량(生重量, fresh weight)은 70% 이상의 수분과 유기물 그리고 약간의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다. 식물의 생중량(生重量, fresh weight)을 100~110℃에서 24시간 가열해서 수분을 증발시키면 고체 성분의 유기물과 무기물이 남게 되는데 이를 건조 중량(乾燥重量, dry weight)이라 한다. 건조된 유기화합물(有機化合物, organic compounds) 성분에는 당(C, O, H), 녹말,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펙틴, 지질(C, O, H), 단백질(C, O, H, N, S), 핵산(C, O, H, N) 등은 많고 비타민(C, O, H, N, S, 무기 영양 원소), 호르몬, 색소,.. 공감수 1 댓글수 1 2022. 11. 13.
  • 식물 배발생(plant embryogenesis, plant ontogeny, 식물 개체 발생) 식물의 생식세포(生殖細胞, gamete)와 수정란(접합자, zygote, 2n, 이배체, diploid) 생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겉씨식물(Gymnosperm, 나자식물)은 꽃밥(anther, 花粉囊 화분낭, pollen sac)에서 1개의 화분모세포(花粉母細胞, pollen mother cell, microspore mother cell 소포자모세포, microsporocyte, 2n)가 감수 분열로 4개의 소포자(小胞子, 화분이 되는 미성숙 세포, 화분, microspore, n)가 생성된다. 그런데 화분(꽃가루)이 생성되는 방법은 종에 따라 다르다. 은행에서는 소포자는 다시 분열하여 크고 작은 2개의 세포가 되며, 이 중 작은 세포는 한 번 더 분열하여 2개가 되는데 후에 퇴화한다. 큰 세포(n).. 공감수 0 댓글수 0 2022. 11. 2.
  • ATP, 생물에 이용되는 에너지(ATP)의 생성 과정 1. 요약 생물은 에너지를 이용하여 살아간다. 생물의 모든 작용은 효소에 의한 화학반응으로 일어나며 화학반응에는 에너지가 수반되기 때문이다. 생물이 사용하는 에너지의 원천은 태양의 빛 에너지다. 생물이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광합성 작용으로 빛 에너지를 포도당(686kcal/mol)이라는 탄소화합물에 저장해야 한다. 생물은 광합성으로 합성된 포도당 등 탄소화합물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살아간다. 그런데 실제 생물의 모든 작용에 일어나는 화학반응에서 쓰이는 에너지로는 포도당 등 탄소화합물이 바로 쓰이는 것이 아니고 포도당 등을 산화시켜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합성된 ATP(화학 에너지)이다. 식물의 광합성 작용으로 생성되거나 동물이 먹이로 섭취한 포도당에는 686 kcal/mo..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11. 2.
  • 탄수화물(炭水化物, carbohydrate) 탄수화물(Cm(H2O)n)은 탄소, 수소, 산소 등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는 유기 화합물로 수산기(-OH)와 알데히드기(-CHO, -C(=O)H)나 케톤(>C=O)를 갖고 있다. 탄수화물은 인체에 대부분 에너지원으로 쓰이며 인체의 구성 성분으로는 0.4% 정도를 차지하는 영양소이다. 종류로는 셀룰로오스(Cellulose, 섬유소), 녹말(전분, starch), 글리코젠(glycogen) 등과 같은 다당류와 엿당(맥아당, maltose, 말토오스), 설탕(자당, 사탕, sucrose, 수크로오스), 젖당(유당, lactose, 락토오스) 등의 이당류, 그리고 포도당(glucose, 글루코오스), 과당( fructose, 프락토오스), 갈락토오스(galactose) 등 육탄당(六炭糖, hexos)인 단당류 등.. 공감수 8 댓글수 0 2022. 10. 22.
  • 지질(lipid) 1. 지질(lipid) 생물이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해 섭취하는 물질을 영양소라 한다. 지질은 인체 구성 성분의 13%를 차지하는 생명체의 3대 영양소 중의 하나이다. 지질 분자는 탄소(C), 수소(H), 산소(O)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극성 용매에 용해된다. 물과 같은 극성 용매에는 잘 녹지 않고 에테르, 클로로포름과 같은 비극성 용매에 잘 녹는 물질이다. 넓게 정의하는 사람은 소수성, 혹은 양친매성(兩親媒性, amphipathic, 한쪽은 극성기를 가지고 다른 한쪽은 소수성기를 가진 분자)을 가지는 분자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친수성(hydrophilic)이란 어떤 물질이 극성(極性, polarity, 화학결합에서 전자 분포가 어느 한쪽 원자에 기울어 있는 것)이 있어 물에 잘 녹는 성질을 말하며 일반적.. 공감수 7 댓글수 0 2022. 10. 22.
  • 단백질(Protein) 단백질(Protein) 은 20여 종의 아미노산(amino acid)이 펩타이드 결합(peptide bond)으로 이루어진 탄소화합물(炭素化合物, carbon compound, 유기물)이다. 보통 단백질은 50 ~100개 이상의 아미노산(amino acid)이 펩타이드 결합된 것이며 특별히 타이틴(titin)은 26,926개의 아미노산이 펩타이드 결합된 것이다. 단백질 종류는 인체에 200만 종, 자연계에 1,000만 종 정도 있을 것이라 추측한다. 18세기 앙투안 프랑수아 푸르크루아(Antoine Francois Fourcroy, 1755 ~ 1809, 프랑스) 등이 단백질의 존재를 처음 언급하였다. 1806년에는 프랑스의 루이 니콜라 보클랭(Louis Nicolas Vauquelin, 1763~182.. 공감수 18 댓글수 0 2022. 10. 22.
  • 이화 작용(異化作用, catabolism) 광합성, 호흡, 소화와 같이 유기물질의 합성이나 분해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유기화합물의 연속적 화학반응을 물질대사라 한다(물질대사의 일부분인 한 개의 화학반응도 불질 대사라 한다). 물질대사(物質代謝, metabolism) 중에서 고분자 물질이나 저분자 물질을 보다 작은 저분자 물질이나 무기물질로 분해하는 과정을 이화 작용(catabolism)이라 한다. 1. 고분자 물질을 저분자 물질로 분해 이화 작용이 일어날 때 먼저 고분자 물질이 저분자 물질로 분해된다. 체외인 소화기관에서 소화효소의 작용으로 단백질은 20여 종류의 아미노산으로, 탄수화물인 녹말, 글리코젠(glycogen) 등의 다당류는 엿당 등의 이당류로 분해되고 다시 포도당, 과당, 갈락토오스 등과 같은 단당으로, ..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10. 17.
  • 호르몬(hormone, 내분비)의 종류와 작용 1. 호르몬(hormone, 내분비)이란? 내분비계는 신경계와 함께 생체내의 기능을 조절하는 조절계이다. 신경계는 정보의 전달을 위해 상호 간에 뉴런으로 연결되어 있고 전기신호와 신경전달물질로 전달 작용을 하는 반면 내분비계는 호르몬이라는 물질이 내분비선에서 혈관이나 조직으로 분비되며 혈액에 의해 표적기관으로 운반되어 기능을 수행한다. 호르몬의 조절작용은 대부분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신경의 지배를 받는다. 호르몬을 분비하는 분비 조직을 내분비선이라 한다. 2. 호르몬(hormone)의 발견 처음 발견된 호르몬(hormone)은 십이지 장벽에서 혈관으로 분비되는 이자액 분비를 촉진하는 호르몬인 세크레틴(분비)이다. 이 호르몬은 영국의 베일리스(Bayliss, W.M.)와 스탈링(Starling, E.H... 공감수 1 댓글수 0 2022. 10. 17.
  • 동화작용(anabolism, 광합성과 유기화합물 합성) 광합성, 호흡, 소화와 같이 유기물질의 합성이나 분해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생물체에서 일어나는 유기화합물의 연속적 화학반응을 물질대사라 한다(물질대사의 일부분인 한 개의 화학반응도 물질대사라 한다). 물질대사 중에서 무기물질이나 단순한 유기물질과 에너지를 이용하여 보다 복잡한 유기 화합물(녹말, 글리코젠, 셀룰로오스, 지질, 단백질, 핵산 등)을 합성하는 과정을 동화작용(anabolism)이라고 한다. * 동화작용(同化作用)의 영어 용어에는 anabolism과 assimilation이 있으며 이들은 동의어로 쓰기도 하지만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쓰기도 한다. • anabolism(동화작용 同化作用, 합성대사 合成代謝) 물질대사(物質代謝, metabolism) 중 작은 단위의 간단한 물질로부터 더 .. 공감수 12 댓글수 1 2022. 10. 11.
  • 속씨식물의 중복수정(double fertilization)과 겉씨식물의 수분(pollination) 및 수정(fertilization) 꽃이 피고 종자를 맺는 식물을 종자식물(種子植物, spermatophytes)이라 한다. 꽃은 종자식물의 생식기관이다. 단성화이거나 양성화이거나 간에 암술(pistil, 심피, carpel ; 암술대 style, 암술머리 stigma, 씨방 ovary, 밑씨 ovule로 구성)은 동물의 암컷에 해당하고 수술(stamen ; 수술대, 꽃밥, 화분으로 구성)은 동물의 수컷에 해당한다. 그리고 밑씨는 난자, 화분(꽃가루)은 정자에 해당하지만 정확하게는 조금 다르다(알세포, 난세포 ; 난자, 정핵 ; 정자). 꽃을 예쁘게 보이게 하는 꽃잎은 수분을 도와주는 곤충 등의 동물을 끌어들이는 수단이므로 속씨식물(Angiosperm, 피자식물, 被子植物)에만 주로 있다. 종자식물(種子植物, spermatophytes)은..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꽃가루(화분, pollen)와 꽃가루 알러지(allergy, 알레르기) 1. 꽃가루(화분, pollen) 대부분의 식물은 암술과 수술을 가지고 있고 이들 암수는 각각 생식세포를 만들며 암수 생식세포가 수정하여 자손을 생성하는 유성생식을 한다. 이때 식물의 암컷이 생성하는 생식세포는 배낭세포 속의 알세포(난세포)이고 수컷이 생성하는 생식세포는 꽃가루(화분)가 수분되어 핵분열로 생성되는 정핵이다. 수컷이 정핵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꽃가루를 생성해야 하며 꽃가루는 수술의 꽃밥에서 화분모세포의 감수분열로 생성된다. 꽃가루(화분)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모양이 다르며 크기는 직경이 10 ~ 200μm로 작아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다. 꽃가루 구조를 보면 껍질의 안쪽에는 내막(intine), 바깥쪽에는 외막(exine)이 있다. 외막은 여러 가지 독특한 무늬를 가지고 있으며 물이 투과할 ..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콜레스테롤(cholesterol) 1. 콜레스테롤(cholesterol)의 연구 1758년경에 프랑수아 풀리 티에 드 라살(François Poulletier de la Salle, 1719 ~ 1788, 프, 의사, 화학자)이 담석에서 처음으로 콜레스테롤 결정을 분리했다. 그 후 1952년 콜레스테롤의 아버지로 불리는 앤젤 키(Ancel Benjamin Keys, 1904 ~ 2004, 미)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심장질환이 많이 생긴다고 발표했다. 콘라트 에밀 블로흐(Konrad Emil Bloch, ForMemRS, 1912~2000, 미)와 페오드르 리넨(Feodor Lynen, 1911~1979, 독, 화학자)은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대사에 대한 연구로 1964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하였다. 2. 콜레스테롤(cholest..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C3 식물, C4 식물, CAM 식물의 광합성 고온의 열대지방과 건조 지방에서 식물이 어떻게 적응하여 살아가는지에 대해 광합성과 호흡작용을 통해 알아본다. 1. C3 식물 식물에서는 엽록체에서 물과 이산화탄소를 재료로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포도당을 생성하는 광화학반응(光化學反應, Photochemical Reaction)이 일어나는데 이를 광합성(光合成, photosynthesis)이라 한다. 광합성 작용은 엽육 세포(잎에서 표피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포, 책상 조직과 해면 조직)에 있는 엽록체에서 일어나는데 그라나에서 일어나는 명반응과 스트로마에서 일어나는 암반응으로 이루어져 있다. 명반응은 엽록소가 받은 빛 에너지로 물을 광분해하여 산소를 방출하고 수소이온에 빛 에너지를 실어 ATP와 NADPH(nicotinamide adenine dinucleo..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과당의 과다섭취와 건강 과당(fructose)은 포도당(glucose), 갈락토오스(galactose)와 함께 탄수화물에 속하는 단당류(monosaccharide)이며 과일에 많다고 붙여진 이름이다. 천연 과당은 꿀과 과일에 많이 들어 있으며 설탕(雪糖, sugar, sucrose, 자당 蔗糖)은 포도당과 과당이 결합된 이당류(二糖類, disaccharide)이므로 소화되면 포도당과 과당이 같은 비율로 생성된다. 과당의 당도는 설탕의 1.5배 정도로 당 중에서 가장 달다. 과당은 건강을 해치는 나쁜 물질은 아니지만 어떤 조직에서나 분해되어 이용되는 포도당과는 달리 간에서 90%가량이 분해되어 이용되거나 지방으로 저장된다. 그래서 많이 섭취하면 간에 부담을 주게 되고 간이 좋지 않은 사람에게는 문제가 될 수 있다. 현대에는 경제..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과학 탐구 과정(과학 원리의 발견 과정과 제품의 발명 과정) 1. 과학 탐구 지식(知識, knowledge, 노하우, know-how)이란 모르는 것(미지, 未知)을 알아내어 이를 축적한 것이다. 모르는 것(미지)의 대상은 사실일 수도 있고 숫자(미지수, 未知數) 일 수도 있고 관계를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으며 과정이나 방법일 수도 있다. 모르는 것(미지, 未知)을 알아내는 것을 탐구라고 한다. 과학적 탐구는 논리학과 수학에서 먼저 발전되어 온 논리를 이용한다. 논리에는 크게 귀납법과 연역법이 있다. 과학에서 귀납적 탐구 방법은 여러 가지 관찰 결과를 증거로 나열하고 그 증거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한다. 다윈의 진화론도 이러한 귀납적 탐구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연역적 탐구 방법은 결론을 제시하고 증거를 찾아 결론을 증명하는 것이므로 임시 결론인 가설을 설정한 후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20. 1. 8.
  • 괴혈병(scurvy, 壞血病)과 비타민 C(ascorbic acid, 아스코르브산,C6H8O6) 1. 괴혈병(scurvy, 壞血病) 괴혈병의 증상은 콜라젠(collagen)의 생성이 부족하여 결합조직, 지지조직이 약해짐에 따라 모세혈관이 쉽게 파열되어 출혈이 생기므로 피부, 점막, 내장기관, 근육에 멍이 들고, 코피가 난다. 이 질병은 모세혈관이 파열되어 출혈이 일어나므로 괴혈병(scurvy, 壞血病)이라 한다(壞, 허물어질 괴). 출혈 외에도 잇몸이 붓고, 만성 피로, 가쁜 숨, 소화 장애, 우울증, 체중 감소, 면역 기능 감소, 상처 회복 지연, 고지혈증, 빈혈 등 수없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괴혈병은 오랜 기간(20 ~ 40일 이상) 신선한 과일이나 채소를 섭취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병이므로 실제는 흔한 병은 아니다. 괴혈병(scurvy, 壞血病)의 원인은 비타민 C(ascorbic acid,.. 공감수 0 댓글수 0 2019. 7. 24.
  • 음식의 섭취와 체내 영양분 조절 김진국 1. 음식 섭취 욕구와 공급량 조절 식사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 배가 고프고 음식에 대한 욕구가 생긴다. 위에 들어온 음식이 소화되어 내려가고 비면 위와 이자(췌장) 등에서는 그렐린(ghrelin, hunger hormone, 공복 호르몬)을 분비하여 시상하부(간뇌의 아래 부분)를 자극하고 시상하부에서 대뇌를 자극하면 식욕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식사를 하여 배가 불러오면 지방세포에서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을 분비한다. 렙틴(leptin)은 시상하부(간뇌의 아래 부분)를 자극하고 시상하부에서 대뇌를 자극하면 식욕이 억제된다. 그렐린(ghrelin)과 렙틴(leptin)은 길항작용으로 식욕을 조절한다. 배가 고프면 그렐린(ghrelin)의 분비는 증가하고 렙틴(leptin)의 분비는..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8. 4.
  • 이눌린(Inulin) 김진국 이눌린(Inulin)은 단당류인 과당(果糖, 프락토오스, Fructose, Levulose) 분자 32개 정도가 포도당 한 분자에 결합된 과당 중합체(프락탄, fructan)이다. 즉 대략 32개 정도의 과당이 중합체(beta-2,1 glycosidic bond)를 이루고 그 말단기는 α-글루코오스(포도당)가 수크로오스 결합(alpha-1,2 glycosidic bond)을 하고 있는 다당류의 하나로 탄수화물에 속한다. 이눌린(Inulin)은 식물 저장 물질의 하나이며 세포액에 존재한다. 정제하면 녹말(전분, 포도당의 중합체)과 비슷한 백색의 분말이 된다. 찬물에 잘 녹지 않고 녹말과는 달리 끓여도 풀 상태(糊化, 호화, gelatinization)로 되지 않고 아이오딘-아이오딘화 칼륨 용액에 청..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8. 4.
  • 효모(酵母,yeast,이스트) 김진국 1. 효모 효모는 진핵생물(핵막을 가진 생물)로 균류(곰팡이와 버섯류)에 속한다. 균류 중에서 자낭균류에 속하며 뜸팡이라고도 한다. 곰팡이 종류는 포자(홀씨)로 번식하고 몸체가 균사(팡이실, 실모양)로 되어 있다. 효모는 곰팡이 종류에 속하지만 균사가 없고 둥글둥글하다. 대부분의 효모는 무사 분열인 출아법(세포막이 부풀어 나오고 핵이 이동해와 경계 부분에서 핵과 세포질이 분리됨)이란 무성생식으로 번식하지만(출아 효모, budding yeast) 유사분열로 두 세포로 분열하는 분열효모(fission yeast)도 있다. 그리고 환경이 나빠지면 접합을 하고 포자를 생성한다. 크기는 작아 현미경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효모의 용도는 당(단당류와 이당류)을 알코올로 발효시키므로 술 제조에 많이 이용되고 알..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7. 13.
  • 면역력 생성과 강화 김진국 1. 면역 면역계는 1차 방어와 2차 방어로 나눌 수 있다. 눈물, 콧물, 점액, 피부, 위산 등과 같이 병원체의 침입을 저지하거나 침입한 병원체를 파괴하여 체내 침투를 막는 선천적인 작용을 1차적 방어라고 한다. 2차 방어에는 선천성 면역과 후천성 면역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 면역은 항원의 종류에 관계없이 어느 항원에나 범용으로 작용하는 비만세포, 단핵구(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의 식균 작용, 염증 등이 있다. 후천성 면역은 몸 안에 병원체가 침투했을 때 특별한 병원체에만 작용한다. 후천성 면역에는 다시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이 있다. 세포성 면역은 특별한 항체만 잡아먹는 식균 작용이며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에 반응하여 항체를 대량 생산하여 항원과 항원-항체 반응을 일으켜 쓰레기로 .. 공감수 0 댓글수 0 2018. 3. 7.
  • 발효식품(醱酵食品, fermented foods) 김진국 1. 발효(醱酵, Fermentation)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작은 유기물로 분해하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보통 좁은 의미의 발효는 미생물이 당 종류를 무산소 호흡으로 더 작은 분자의 유기물로 분해하는 현상(알코올 발효, 젖산 발효, 아세트산 발효)이며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모든 것이다. 유산소 호흡으로 일어나는 발효(아세트산 발효, 식초 발효)도 있으며 무산소 호흡과 마찬가지로 유기물을 불완전 분해하여 중간대사물질로 분해하는 것이다. 미생물(세균, 곰팡이 등)은 호흡작용으로 발효(부패)를 일으키며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는 산소호흡을 하고 산소가 없는 환경이 되면 무산소 호흡을 하는 통성 호기성(通性好氣性, facultative aerobe ..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1. 22.
  • 생물농축(生物濃縮, Biomagnification) 김진국 1. 생물농축 생물체 내로 흡수된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은 쉽게 분해되지 않고, 지방 분자와 결합하여 생물체에 머물러 있어 체외로 배출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래서 생물이 흡수하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량이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양과 배출되는 양의 합보다 많게 되면 체내에 남아 축적된다. 생물이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을 비 생물적 한경에서 흡수하여 축적된 것을 포식자가 먹는다면 이 포식자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을 대량으로 먹는 것이 되고 체내에는 대량으로 축적되는 것이다. 이렇게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이 대량으로 축적된 생물체를 다음 포식자가 먹게 되면 포식자의 체내에 축적되는 중금속이나 독성 유기 화합물의 양은 수없이 증가할 것이다. 이와 같이 비 생물적 환경에..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1. 22.
  • 1유전자 1효소설(一遺傳子一酵素說, one gene one enzyme theory) 김진국 1 유전자 1 효소설(一遺傳子一酵素說, one gene one enzyme theory)이란 1개의 유전자가 1개의 특정한 효소를 생성하게 한다는 설이다. 1902년 아치볼드 개로드 (Archibald Edward Garrod, 1857~1936, 영국)가 알캅톤뇨증(Alkaptonuria)을 연구하여 유전자와 효소의 관계를 처음 발견하였다. 1941년 비들(George Wells Beadle, 1903~1989. 미국)과 테이텀(Edward Lawrie Tatum, 1909~1975. 미국)이 붉은 빵 곰팡이(red bread mould, Neurospora crassa)의 유전자에 X선을 쪼여 새로운 아미노산이 합성되는 것을 방해하는 관계를 연구하여 1 유전자 1 효소설을 발표하였다. 1. 붉..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1. 13.
  • DNA 염기서열 분석법(DNA 시퀀싱, DNA sequencing),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DNA 염기서열 분석법(DNA 시퀀싱, DNA sequencing),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Sanger 법, 생어법) 김진국 DNA의 염기서열(염기-데옥시 뉴클레오티드가 결합한 순서)을 읽어 내는 것을 DNA 시퀀싱(DNA sequencing)이라고 한다. 1. 디-데옥시 법(Dideoxy Sequencing, 다이 데옥시 시퀀싱, 디디옥시 법) 프레더릭 생어(Frederick Sanger, 1918 ~ 2013, 영국)에 의해 1977년에 개발되었으며 Sanger 법이라고도 한다. 월터 길버트(Walter Gilbert, 1932 ~, 미국)는 제한효소(Restriction endonucleases, 제한 핵산 내부 가수분해효소, restriction ..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11. 9.
  • 호르몬의 발견(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 발견과 아돌프 부테난트의  페로몬 발견, 식물 호르몬 발견) 김진국 우리 몸의 정보전달은 신경계와 호르몬에 의해 일어난다. 신경은 전기적으로 신호를 전달하여 전달 속도가 빠르고 전달 부위가 좁고 지속시간이 짧게 작용한다. 반면에 호르몬은 물질이 신호를 전달하므로 전달 속도가 느리고 전달 부위가 넓으며 지속시간이 길게 작용한다. 1. 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secretin) 발견 20세기 초반까지 몸 안에서의 모든 정보 전달은 신경계를 통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었다. 호르몬은 영국의 생리학자 베일리스(Bayliss, William Maddock, 1860 ~ 1924)와 스탈링(Ernest Henry Starling, 1866 ~ 1927)에 의해 1902년에 발견된 세크레틴(secretin)이 처음이었다. 다음은 베일리스와 스탈링의 세크레틴(secretin)..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19.
  • 유전자 재조합 작물(GMO) 김진국 유전자 재조합 작물(Genetically Modified Crop, GMC,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유전자 변형식품, Transgenics, 형질도입 식품)을 상업적으로 처음 개발한 것은 1994년 칼진(Calgene)사의 무르지 않는 토마토(Flavr Savr, 플레이버 사브르)이고 이어서 1996년 다국적 기업 몬산토(Monsanto)의 라운드업 레디(roundup ready) 콩과 노바티스(Novartis, 스위스)의 BT(Bacillus Thuringenesis) 옥수수이다(라운드업 roundup은 몬산토의 제초제 상표이고 라운드업 레디 roundup ready는 몬산토의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변형작물 상표). 유전자 재조합 작물(GMC)의 재배면적..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19.
  • 개(개의 조상, 발생 지역, 발생 시기, 개의 본능과 습관, 개의 특별한 행동) 김진국 개는 분류학상 식육목(Carnivora), 개과(Canidae), 개속(Canis), 회색 늑대 종(카니스 루푸스, Canis lupus)의 아종이다. 개의 학명은 카니스 루푸스 파밀리아리스(Canis lupus familiaris)이다. 개의 수명은 약 12∼16년이며 암컷 개의 발정 주기(estrus cycle)는 약 8개월이고 발정 기간은 14 ~ 20일가량이지만 임신 가능 기간은 발정 시작일로부터 10 ~ 14일이다. 임신기간은 62 ∼ 68일이고 한배에 4∼6마리를 낳으며 새끼를 낳은 1년 후에 다시 임신이 가능하다. 개는 민첩하고 빨리 달리며 시각, 후각, 청각이 예민하여 진동수 10∼70만 Hz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고 소리의 가락도 식별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사물을 잘 볼 수..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19.
  • 항생제 내성(抗生劑 耐性, antibiotic resistance)과 슈퍼 박테리아(super bacteria, supervugs) 항생제 내성(抗生劑 耐性, antibiotic resistance)과 슈퍼 박테리아(super bacteria, supervugs) 김진국 1. 항생제(抗生劑, antibiotics) 미생물을 죽이는 물질로는 항생제와 항균제가 있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항생제라 하며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합성물(화학적 합성)로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죽이는 물질을 항균제(설파제 등)라 한다. 그리고 진균(곰팡이, 버섯, 효모, 진핵세포)을 죽이는 물질을 항진균제라 한다. 대부분의 항생제와 항균제는 진균을 죽이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항진균제도 세균(원핵세포)을 죽이지 못한다. 그런데 항생제, 항균제, 항진균제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를 항생제라는 용어로 쓰기도 한..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9. 19.
  •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이론 확립 과정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이론 확립 과정(유성생식, 생식 과정에 대한 인식, 정자, 난자, 수정, 감수분열 발견) 김진국 1. 유성생식(有性生殖, sexual reproduction) 유성생식이란 자손을 생산하는 생식 방법의 하나이다. 암수의 구별이 있고 암컷의 생식세포인 난세포(난자)와 수컷의 생식세포인 정자가 수정하여 새로운 자손을 만드는 것이다. 유성생식을 알게 된 역사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679년 안톤 판 레이우엔훅(Antonie van Leeuwenhoek, 레벤후크, 네덜란드, 1632 ~ 1723)이 정자를 발견하였으며 그보다 먼저 1627년 흐라프(Regnier de Graaf, 네덜란드, 1641 ~ 1673)가 포유류의 난소에서 흐라프 여포..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8. 3.
  • 뇌의 작용 원리 뇌의 작용 원리 김진국 신경은 뉴런(neuron, 신경계의 단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추신경계(中樞神經系, central nervous system)와 말초신경계(末梢神經系, peripheral nervous system)로 나눈다. 중추신경은 뇌를 말하며 기억, 판단, 추리, 수의근 명령, 감정 등의 의식 작용을 하는 대뇌, 수의근의 운동과 자세를 담당하는 소뇌, 안구운동, 동공반사, 자세 등을 담당하는 중뇌(중간뇌), 자율신경과 호르몬을 조절하는 간뇌, 심장박동, 폐의 운동 등을 담당하는 연수, 배변 반사 등 척수 반사를 담당하는 척수가 있다. 이들 뇌는 뉴런을 여러 개 연결하고 여러 방식으로 연속적인 작용을 함으로써 다양한 논리를 형성한다. 말초신경은 감각신경, 운동신경, 자율신경(교감신경, 부교.. 공감수 0 댓글수 0 2017. 7. 18.
    문의안내
    • 티스토리
    • 로그인
    • 고객센터

    티스토리는 카카오에서 사랑을 담아 만듭니다.

    © Kakao Corp.